ICT 핵심 산업으로 진화하는 영상보안
상태바
ICT 핵심 산업으로 진화하는 영상보안
  • 석주원 기자
  • 승인 2021.04.06 15: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융합보안을 넘어, 정보 산업의 주요 자원으로

융합보안이란 말이 사용된 지도 벌써 수년이 지났다. 융합보안이란 보안 분야를 전통적으로 구분했던 물리보안과 정보보안이 서로의 영역을 교차하면서 만들어진 용어다. 사회가 복잡해지고 고도화되면서 보안의 요구 사항도 점차 늘어났으며, 물리보안과 정보보안은 이러한 수요를 충조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서로의 영역을 탐하게 됐다. 그렇게 탄생한 융합보안은 이제 보안의 패러다임을 재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흐름 속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보안 분야가 바로 영상보안이라고 할 수 있다. 더욱이 영상보안은 단순히 융합보안의 한 분류를 넘어, 미래 산업의 핵심 자원으로 기대받고 있다.

물리보안에서 융합보안으로

과거, IT 기술의 수준이 낮을 때에는 물리보안과 정보보안의 영역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었다. 우리에게 익숙한 시설 경비에서부터 CCTV, 테러 방지, 출입통제 등이 물리보안의 영역이었다면, 인터넷을 비롯한 IT 환경 전반을 보호하는 영역은 정보보안에 속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PC와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있는 보안 시스템 등도 정보보안 기술들로 보호받고 있다.

그렇다면 융합보안이란 무엇일까? 예를 들어, 출입통제 시스템은 특정한 시설물에 허가된 사람들만 드나들 수 있도록 관리하는 물리보안의 영역이다. 출입통제에는 여러 방식이 있겠지만 과거에는 주로 물리적 차단 장치와 경비 등의 관리 요원이 일반적이었고, 특수 시설에서는 금속 탐지기 등을 도입하기도 했다. 여기까지는 전통적인 물리보안이다.

그런데 여기에 생체인증 장치가 도입된다고 생각해 보자. 출입이 허가된 사람들의 지문이나 얼굴 정보를 사전에 등록해 놓고, 생체인증만으로 출입을 허용하게 되면, 이제는 생체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생긴다. 이러한 중요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는 것은 정보보안의 영역에 속한다. 즉, 생체인증 등의 데이터를 통한 인증 방식을 도입한 출입통제 시스템은 물리보안과 정보보안의 영역을 모두 아우르는 융합보안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융합보안은 가정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홈에서는 출입통제 시스템인 월패드가 설착되어 있다. 이 월패드는 현관문에 장착된 보안 카메라와 연동되어 있으며, 또한 가정 내 IoT 가전제품의 제어도 할 수 있는 컨트롤센터 역할을 한다. 집 안에 가정용 CCTV가 설치되어 있다면 이 역시 연동이 가능하다. 이 작은 월패드 하나에 물리보안과 정보보안이 모두 집약돼 있는 셈이다.

만약 이 월패드가 보안에 취약하다면 현관문이 뚫려 물리적 침입을 허용할 수도 있고, 사이버 침해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이 발생할 수도 있다. 가정용 월패드를 시설 단위로 확대하면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사무실이 위치한 사무용 빌딩들도 모두 비슷한 방식의 융합보안 시스템으로 관리 및 보호받고 있다. 더 많은 장치, 더 많은 센서, 더 많은 인력이 관리한다는 것만 다를 뿐 기본 개념은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보안 업계는 2010년대 중반부터 이러한 융합보안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준비를 해 왔다. 그리고 지난해부터 가시적인 서비스와 솔루션들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국내 대표 물리보안 기업 중 하나인 ADT캡스는 계열사인 정보보안 기업 SK인포섹과의 합병을 통해 융합보안 시장에서 가장 강력한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거듭났다. 국내 영상보안 1위 기업인 한화테크윈 역시 지난해 정보보안 관련 국제 인증을 취득하는 등 영상보안을 정보보안과의 융합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모습이다.

영상보안에 스며드는 ICT 기술

전체 기사를 보시려면 로그인 필요

로그인 또는 회원가입을 해주세요. (회원만 열람가능)

로그인 회원가입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