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연구팀, 고성능 저비용 폐열 발전 상용화 기틀 마련
상태바
서울대 연구팀, 고성능 저비용 폐열 발전 상용화 기틀 마련
  • 황민승 기자
  • 승인 2021.08.03 15: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석·셀레늄 기반 세계 최고 효율 열전 신소재 개발

서울대학교 연구팀이 전력 생산과정에서 버려지는 폐열을 친환경 발전에 활용할 수 있는 원천소재 개발에 성공했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화학생물공학부 정인 교수팀이 고가의 원소를 포함하지 않아도 세계 최고 수준의 발전 효율을 발휘하는 열전 신소재 개발에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전 세계적으로 생산된 에너지의 65% 이상은 사용되지 못하고 열에너지로 사라지는 데 이를 폐열이라 부른다. 전력 생산은 절대적으로 화석연료에 의존하는 만큼 지속 발생하는 다량의 폐열을 활용 가능한 형태의 에너지로 회수하는 것은 현재 직면한 에너지, 환경 문제 대처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열전 기술은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직접 변환할 수 있고 간단한 반도체 소자에 구현되기 때문에 어떠한 기계적 소음이나 진동, 유해 화학물질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에 열전 기술은 에너지, 환경 문제를 동시에 대처할 수 있는 첨단 기술로 꼽혀왔다.

실제로 미국이 두 차례 발사한 화성탐사선의 주 에너지원은 열전이었으며, SF 영화 ‘마션’에서도 화성탐사차량의 에너지원으로 소개된 바 있다. 하지만 지금껏 개발된 고성능 소재들은 유독한 납이나 희귀한 텔루륨 등의 원소를 포함하며, 낮은 발전 효율로 인해 상용화가 어려웠다.

이번에 정인 교수팀은 주석(Sn)과 셀레늄(Se)에 기반한 초고성능 다결정 소재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일거에 해결했다. 셀레늄화 주석 소재는 지난 2014년 단결정 형태에서 매우 높은 열전성능지수(ZT)인 2.6을 달성한 연구가 학계에 보고되면서 큰 관심을 끌었지만 그 결과의 재현여부는 현재까지 큰 논란이었다.

또한 단결정 소재는 노동집약적, 장시간 고비용 제작과정으로 대량생산이 불가능하며, 기계적 결함으로 인해 상용화가 어렵다. 이에 산업화에 유리한 셀레늄화 주석 다결정 소재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진행됐지만 단결정 소재에 비해 매우 낮은 효율을 보여왔다.

이번 연구에서는 다결정 소재들이 낮은 성능을 가지는 근본적 원인을 밝히고, 이를 원천적으로 해결하는 새로운 합성 공정법이 개발됐다. 그 결과, 해당 신소재는 역사상 최초로 열전성능지수 3.1이 넘는 초고성능 발전 성능을 보였으며,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 효율이 20%를 넘는 세계 최고 기록을 나타냈다.

정인 교수는 “페로브스카이트 소재가 태양전지 연구의 대전환을 이룬 것처럼 개발된 다결정 SnSe계 신소재가 초고성능 열전발전기술 상용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머트리얼즈(Nature Materials)’ 8월 3일 자 온라인 최신호에 게재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