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하수악취’잡는다…지역·시설물별 악취지도 및 신공법 개발
상태바
서울시, ‘하수악취’잡는다…지역·시설물별 악취지도 및 신공법 개발
  • 김범규 기자
  • 승인 2020.04.28 17: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가 하수악취를 잡기 위해 보다 세분화·고도화된 등급별 관리계획을 세우고 각 등급에 맞는 하수악취 저감방법을 개발, 도입한다.
시는 ‘서울형 하수악취 저감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한다고 28일 밝혔다. 현재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술용역을 발주한 상태며 5월 기본계획 수립에 들어가 2021년 말까지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그동안 건물정화조, 공공하수도 시설물 등에 악취저감시설을 설치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으로 악취농도를 87%까지 낮추고 관련 민원도 40% 이상 감소했다.
 
정화조 공기공급장치 원리 [제공=서울시]
정화조 공기공급장치 원리 [제공=서울시]

하지만 최근 들어 감소율이 정체되고 지속해서 민원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 그동안 추진한 하수악취 저감대책이 정확한 효과 측정에 한계가 있고 수요조사에 의해 사업이 추진돼 실효성 문제와 자치구별 편차 등 시스템 개편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이에 앞으로는 지역별 악취관리 편차를 줄이고 저감효과 측정의 정확성을 높여 하수악취 관리를 고도화하고 관련 민원을 더욱 줄이는 데 역점을 둘 계획이다.
새롭게 도입하는 하수악취 저감을 위한 4단계 관리계획은 ▲하수악취 관리등급 선정 ▲각 등급별 목표관리제 ▲하수악취 저감방법 강구 ▲시범사업을 통한 목표 달성방안 검증 및 실제 적용이다.
먼저 서울시 공간 특성 및 악취민원 수요에 따라 관리등급을 정하고 서울 전역을 색깔로 구분해 볼 수 있는 시각형 악취지도를 마련한다. 이를 기초로 황화수소(H2S) 농도 기준에 따라 등급별 하수 악취 목표 기준을 설정하고 목표 관리를 위한 측정 지점 선정 및 개수를 산정한다.
이어 목표 수준 이내 시 유지관리와 초과 시 각 구역별 강화된 저감 방법 등 등급에 맞게 하수악취 저감 방법을 기본계획에 담는다.
현장 여건에 적합한 기존의 악취 저감 방법에 더해 신공법을 개발해 기존 악취차단 장치인 낙차 완화, 맨홀 부관 및 인버트, 하수 박스 악취차단, 빗물받이 악취차단 등을 현장 특성에 맞게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관리방안을 수립한다.
하수악취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강제배출형 정화조는 악취저감장치인 공기공급 장치의 정상 가동 여부를 실시간 모니터링한다.
마지막으로 시범사업 시행을 통해 효과성에 대한 충분한 성과분석을 진행한다. 특히 개별 공간이 아닌 규모 있는 하나의 지역을 블록화해 시범사업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시는 기본계획 용역이 완료되면 현재 추진 사업인 건물정화조 악취저감장치 실시간 모니터링, 시민자율환경감시단 운영, 도심명소‧도심 재생 하수악취 집중관리 등 다양한 사업과 연계해 생활환경 개선과 쾌적한 거리환경 조성에 나설 계획이다.
이정화 서울시 물순환안전국장은 “서울형 하수악취 저감 기본계획 용역을 통해 글로벌 국제도시 서울의 도시품격을 높이고 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보다 정확하고 세밀한 맞춤형 악취관리정책을 단계별로 추진해 하수악취 없는 서울을 만들기 위해 지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