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경찰과 과학치안 나아갈 길 알아본다

치안정책연구소 2017년도 학술세미나 개최…과학치안과 발전방향 토론

2017-05-19     신동훈 기자

[CCTV뉴스=신동훈 기자] 4차 산업혁명이 이미 산업을 넘어 일상생활 속까지 파고드는 가운데, 사회전반에 걸친 변혁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미래사회 안전문제와 치안활동 대응전략 마련이 시급해졌다. 이러한 미래사회 안전이슈와 치안활동 대응 전략을 살펴보는 세미나가 열렸다.

치안정책연구소가 지난 5월 17일 ‘미래지향적 경찰조직과 치안 R&D’를 주제로 2017년 상반기 학술세미나를 진행한 가운데, 제3세션인 '과학치안의 발전방향'에 대해 배순일 치안정책연구소 과학기술연구부장이 발표했다.

배순일 부장은 “과학기술은 양날의 검”이라 전했다. 과학기술이 발전되면 편리해지지만 반면 이 고도화된 기술로 사회안전을 위협하는 요인도 되기 때문이다.

배순일 부장은 “다양한 범죄들이 지능화되고 고도화돼 위협요인이 되고 있다. 최근 랜섬웨어 워나크라이가 그 예가 될 것”이라며 “스마트 치안 등 긍정적인 면도 살펴볼 수 있는데 경찰자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전략 등 과학치안은 치안활동을 제고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라 전했다.

이러한 스마트 치안에 대해 해외사례도 언급했다. 먼저 뉴욕경찰청의 범죄 데이터 통합 분석 시스템(Real-Time Crime Center, RTCC)는 범죄 수사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관련 유관기관까지)를 원스톱으로 받을 수 있는데 10년 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단계별로 추진했다. 뉴욕경찰 내부 35개 DB를 모두 통합해 검색 가능하다.

또한, 뉴욕경찰청의 IoT 기반 범죄 대응 시스템 DAS(Domain Awareness System)은 민간기업인 마이크로소프트와 뉴욕경찰이 전략적 협업 관계를 맺고 구축한 시스템으로, 약 9000대의 지능형 CCTV와 총소리·방사능 탐지센서 등 센서와 범죄 데이터를 연동한다. 특히 9000대 중 25%가 민간 CCTV로 자발적으로 뉴욕경찰에 연동을 진행했다고 한다.

배순일 부장은 “우리나라 지자체 통합관제센터와 유사할 수 있으나, 차이점은 스마트폰, 태블릿 버전의 DAS도 존재한다는 점”이라며 “실제 현장에 있는 경찰관과 바로 소통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 전했다.

이와 함께 인공지능 왓슨 기반 사이버범죄 대응시스템인 왓슨 포 사이버시큐리티는 인공지능을 통해 사이버보안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나, 공공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로 치안분야 적용에는 제약사항이 따른다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프레드폴(PredPol)은 빅데이터 기반 범죄예측 시스템으로, 범죄정보 분석을 통해 범죄장소와 일시를 예측 순찰 활동에 직접 반영한다. LA 경찰은 프레드폴 예측결과 대비 경찰관의 순찰시간을 관리지표로 활용중이다.

배순일 부장은 4차 산업혁명의 변화와 해외 선진 치안사례를 통해 첨단기술의 치안분야 적용을 위한 중장기 전략 수립이 필요하고 경찰과 외부 기관, 민간 부문과 협업도 중요하다고 전했다. 또한, 경찰 기능별 업무가 아닌 연계된 전체 업무 흐름을 고려한 연구와 관련 정책 기반 역시 필요한 것이라 시사했다.

마지막으로, 배순일 부장은 과학치안의 현황과 문제점 등을 진단했다. 첨단기술의 치안분야를 적용하기에는 치안분야 수요와 산업계 첨단기술 트렌드가 다르고 치안 분야에 대한 외부 기관들의 이해가 부족한 상황이라 전했다. 치안데이터 활용에도 어려움이 있어 빅데이터와 머신러닝 관점에서 데이터 품질 관리가 필요하고 첨단기술 활용을 위한 정책과 제도 연구도 부족하다고 밝혔다.

이 외에 ▲국민의 관심 분야와 경찰의 현장 수요를 반영한 실용적 연구 부족 ▲과학치안 관련 경찰 전문인력 부족 등을 문제점으로 진단했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첨단기술의 치안분야 활용을 위한 연구체계 확립 ▲국민과 치안 현장의 수요를 반영한 실용 연구 추진 ▲(가칭)치안과학원 설립을 통한 첨단기술과 실용연구 추진 ▲ 데이터 레이크 구축을 통해 치안 데이터 통합 인프라와 분석체계 구축 등을 제시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박사는 “경찰 패러다임 변화, 과학기술이 선도에 서야 할 것”이라며 “R&D 주무부처와 경찰청간 괴리감이 있어 실제 R&D 진행이 어려운데 이 간극을 어떻게 줄여할 것인지 중요한 화두이다. 그렇기 때문에 R&D 진행을 위해 경찰청 내부 브레인 기획팀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용태 ETRI 실장은 “대부분 연구가 사건 해결에 집중돼 있는데 이제는 미래 위협을 예방하는 쪽으로 R&D를 진행해야 된다고 본다”며 “민감한 경찰청 데이터를 어떻게 오픈해서 활용할 수 있을지, 민간 데이터를 연계하고 활용할 수 있는 표준화 방법 등을 고민해 봐야 한다”고 전했다.

김연수 동국대 교수는 “여태껏 R&D가 범죄수사 기술개발에 집중돼 있었는데, R&D 확보과정에서 경찰 특수성을 보여줄 수 있는(쉽게 R&D 예산을 받을 수 있는) 쪽으로 주제가 맞혀지지 않았나는 생각이 든다”며 “이제는 국민생활과 밀접한 수요가 반영된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그렇기에 기술을 소개하고 현장 경찰들이 와서 소통하고 논의해 정말 필요한 R&D가 진행될 수 있게 컨소시엄의 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최재원 다음소프트 이사는 “단순 범죄 데이터만 분석하면 한계가 있다. 범죄 데이터와 함께 다른 데이터들과 연계해 활용하면 예측할 수 있는게 많아진다”며 “디테일한 목적을 잡고 하나하나 잡아갔을 때 과학치안 범죄예방의 길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이영수 한국첨단안전산업협회 회장은 “치안과학 기술들이 빅데이터, 딥 러닝으로 발전하고 있다. 산업화는 시대의 과제가 됐다. 어떻게 산업화를 이뤄나갈 것인가가 경찰청의 숙제라 본다”며 “산업계가 가진 기술과 경찰청의 수요를 통합할 수 있는 심포지엄 장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기업과 연계한 협력과 정책연구 등 신기술, 신산업에 맞는 법제도를 적기에 만들어 주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