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형 CCTV 통합관제 시스템 산업 동향

2013-05-06     이광재
저자/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ReSEAT프로그램 전문연구위원

"키워드 : 지능형 CCTV, 통합관제 시스템, 네트워크 카메라, TCP·IP 네트워크, 이동통신 시스템, 무선 네트워크, 영상분석, 영상보안, 초고화질, 영상 모니터링"

개요

영상감시 장치로서 CCTV(Closed Circuit TV) 통합관제 시스템이 지속적으로 확산되면서 매우 다양한 분야에 파급되고 있다. 그 기능 또한 단순한 주변상황 감시형 아날로그 CCTV에서 최근에는 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CCTV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지능형이란 고정식 카메라 및 단일 센서를 이용한 기존 아날로그·디지털 CCTV 감시 통합관제 시스템의 문제점(모니터링 인식도 저하, 상시 음영지역 모니터링 기능 불가, 유지보수 비용 증가 등)을 개선해 실시간(사전 예방형)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루프 센서(loop ensor), 열적외선 이미지 센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초음파 방식 등을 활용한 통합관제시스템을 의미한다.

지능형 CCTV 통합관제 시스템은 CCTV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중 자동으로 사물이나 사람의 특징적인 객체를 인식·추적할 수 있어 주변상황 김시 기능을 매우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아울러 다음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 교통위반 및 교통사고 식별을 통한 정확한 교통관제 시스템 구축에 이용되고 있다.

- 범죄자의 용모 및 범죄행위 식별을 통한 범죄예방 시스템 구축에 이용되고 있다.

- 방화 및 테러 행위 식별을 통한 재난방지 시스템 구축에 이용되고 있다.

 

2012년 7월 23일 제주 올래길에서 40대 여성 한명이 피살된 사건이 발생한바 있다. 그 사건 이후 제주 올래길은 잠정폐쇄됐고 아울러 제주도 관광의 안전에 적신호가 켜지게 됐다. 이에 2012년 8월 제주특별자치도는 22억원의 예산을 투자해 '제주특별자치도 CCTV 통합관제센터 2차 구축사업'을 추진했다.

이러한 사건을 거울삼아 한적한 등산로 및 산책로의 주변상황 감시 기능을 실행하는 CCTV 카메라 설치사례가 각 지자체 주관으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미국 및 유럽 등 선도국가에서는 이러한 지능형 CCTV 통합관제 시스템 기술의 혁신 및 품질 제고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영국의 경우에는 ▲수하물 검색 ▲출입구 감시 ▲열화상 감시 ▲주차차량 감시 ▲주변상황 감시 ▲다중카메라 등 6개 분야에 시범사업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러한 요소에 대한 정확한 인식·식별기능을 갖춘 지능형 CCTV 제품에 영국 정부 공인 인증마크를 부여하는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안전행정부 주관으로 2014년까지 총 1100억원의 예산을 투자해 지방자치단체에 CCTV 통합관제센터 구축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CCTV 카메라 이슈

 

지능형 CCTV 통합관제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필수적인 네트워크 카메라(IP(Internet Protocol) 카메라)는 엄밀히 말하면 CCTV 카메라와는 서로 개념이 다르다고 볼 수 있다. 즉, CCTV 통합관제 시스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모든 카메라가 CCTV 카메라라고 할 수 있다. 각 카메라의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아날로그 CCTV 카메라는 영상 출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아날로그 영상 촬상장치다. 즉, 방송용 카메라나 캠코더와 마찬가지로 아날로그 영상을 출력하기 때문에 아날로그 모니터에 연결해 출력할 수 있다.

- CCTV 통합관제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네트워크 카메라는 네트워크 카메라, IP 카메라, 웹 서버, 웹 카메라 등으로 불리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대부분 내부에 소형 아날로그 CCTV 카메라와 인코더를 내장하고 있는 형태의 복합형 장치다.

 

따라서 단순하게 비교하자면 네트워크 카메라는 아날로그 CCTV 카메라에 인코더가 더 해진 장치라고 볼 수 있다. 고성능 아날로그 CCTV 카메라의 영상을 TCP·IP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감시·저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외장형 인코더가 있다. 어떤 아날로그 CCTV 카메라들은 저가형 네트워크 카메라보다 다양한 고성능을 제공하고 있어 아날로그 CCTV 카메라와 외장형 인코더를 이용해 CCTV 통합관제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도 많이 볼 수 있다.


무선 네트워킹 기술이 고도화된 최근의 추세는 TCP·IP 네트워크 기반의 영상 전송·저장·관리 기능이 주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특히 주요한 점은 TCP·IP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스위치, 네트워크 기반 저장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보안 및 관리 서버 등 모든 장비가 용도에 맞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필요한 용도, 구축규모, 운영방안 및 예산규모에 따른 개별 장비 및 통합관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그림 1. 등산로 및 산책로 감시용 CCTV 카메라
<자료 : 필자가 즐겨 찾는 산책로에 설치된 CCTV 카메라(2013. 4월 촬영)>


지능형 CCTV 통합관제 시스템 성능 개선

 

CDMA2000·비동기식WCDMA·HSDPA/HSUPA 등의 3G에서 4G-LTE(Long Term Evolution)로 진화하고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급속한 대중화, 와이파이·dhj아부로·와비맥스 등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의 확산, 셀룰러폰·스마트폰·PDA·PMP·MP3~4·DMB·모바일IPTV·넷북·태블릿PC·GPS수신기 등 다양한 모바일기기의 보급 등에 힘입어 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CCTV 통합관제 시스템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아울러 TPS(Triple Play Service: 단일 회선을 통해 전화(음성), 초고속 인터넷(데이터), 비디오(방송)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등의 편리한 결합서비스가 등장하면서 통신과 방송사업 간 융합기술이 접목된 통합관제 시스템도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대중화 추세에 맞춰 지능형 CCTV 통합관제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 구축이 필수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를 통해 국내 관련 산업 환경에 맞는 행위 기반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러한 DB를 국내 지능형 CCTV 관련 업체가 이용함으로써 지능형 CCTV 통합관제 시스템 분야의 핵심 기술인 객체의 식별 및 추적 알고리즘을 성능을 개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술력을 효과적으로 선진화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세부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지능형 CCTV 통합관제 시스템을 시험할 수 있는 영상획득 장비의 구축과 아울러 촬영된 이미지를 체계적으로 축적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 지능형 CCTV 통합관제 시스템을 통한 시험용 영상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할 수 있는 기술력과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성능시험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 지능형 CCTV 통합관제 시스템 기술 관련 핵심(표준) 특허의 출원과 아울러 국제표준화 추진 및 시험인증 방안에 대한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아울러 지능형 CCTV 통합관제 시스템의 핵심 기술인 카메라, 영상 저장장치(DVR(Digital Video Recorder)·NVR(Network Video Recorder)·HDVR(Hybrid DVR) 등), 통합관제시스템 소프트웨어, 영상분석 기술 및 영상보안 기술 등 전 분야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지능형 CCTV 통합관제 시스템 요소기술 및 구현사례

 

지능형 CCTV 통합관제 시스템 주요 구성 = 지능형 CCTV 통합관제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모듈 및 시스템으로는 카메라, 접속방식, 영상신호 관리 시스템, 저장장치, 영상 분석 시스템 및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 등이 있다. 이들은 통합관제 시스템 내부에서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돼 대부분 임베디드 방식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동작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된다. 지능형 CCTV 통합관제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요소기술 = 지능형 CCTV 통합관제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주변상황에 대한 사람 중심의 행동을 기반으로 촬영된 영상을 축적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보행자나 차량의 통행이 빈번한 거리 및 도로의 돌발 상황, 교통신호 위반상황, 교차로에서 차량의 꼬리물기 등의 운전 행위, 횡단보도에서의 교통사고 등 사람의 행동 시나리오별 중심의 행위에 기반을 둔 영상을 체계적으로 축적할 수 있어야 한다.

- 1초당 15~30프레임과 SD(Standard Definition : 표준화질, 720×480픽셀의 해상도를 갖는 1프레임을 1초당 60회 보여주는 방식)·HD(High Definition : 고화질, 1280×720픽셀의 해상도를 갖는 1프레임을 1초당 60회 보여주는 방식))·풀-HD(완전 고화질, 1920×1080의 해상도를 갖는 1프레임을 1초당 30회 보여주는 방식)·UHD(Ultra HD : 초고화질, 2012년 6월 ITU에서 정의한 초고해상도 포맷에 대한 명칭으로 3840×2160의 해상도를 UHD 1단계, 8K(7680×4320)의 해상도를 UHD 2단계로 구분) 등 각 화질별로 다양한 영상으로 축적할 수 있어야 한다.

- 사람이외의 사물을 식별 및 추적할 수 있는 특수상황에 기반을 둔 영상을 체계적으로 축적할 수 있어야 한다. 아울러 낮 시간대이외의 새벽이나 심야시간대에 나타나는 그림자 배경 등을 달리한 영상을 에 기반을 둔 영상을 체계적으로 축적할 수 있어야 한다.

아울러 기존에 구축된 영상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지능형 CCTV 영상분석 솔루션을 통해 이들을 정상적으로 식별 및 추적할 수 있는 체계화된 기술력이 필요하다. 특히 체계화된 데이터베이스의 각 행위내용을 시간별 및 내용별로 표준화해 기록하고 이를 이용해 언제든지 반복 시험할 수 있는 시험도구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선도기업의 특허 현황을 토대로 국내 기술력을 분석하고 기슬격차를 줄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지능형 CCTV 통합관제시스템 관련 국제표준 현황을 토대로 국내 표준(국가기술규격)을 추진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지능형 CCTV 통합관제시스템 시험인증 절차 및 기준 등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사람행위 기반의 영상 이미지 및 특수상황에 대한 영상 이미지 등을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는 지능형 CCTV 통합관제 시스템 영상DB 시험도구 프로그램의 개발과 아울러 시험인증 방안 등에 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이러한 내용으로 6억7000만원의 정부출연금 규모로 2013년 5월부터 2014년 4월까지 '지능형 CCTV 성능 시험 서비스 테스트베드 구축' 사업이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주관으로 진행됨)




그림 2. 애플 아이폰을 활용한 감시 시스템
<자료 : www.security-technologynews.com>


 

구현사례

 

표준화 사례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는 CCTV 통합관제 시스템의 설치, 운영 및 유지보수가 정보통신공사업법에 의한 정보통신 공사로서 정보통신공사업자만이 그 행위를 할 수 있다는 당위성을 제공하기 위해 표준을 제정했다. 이 표준안에는 CCTV 카메라, 영상신호 전송 및 분배, 영상의 표출·녹화·제어 등으로 구성되는 CCTV 통합관제시스템의 요소별 설치 및 관리기술과 관련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표준안의 명칭은 '폐쇄회로텔레비전(CCTV) 통합관제시스템의 설계 및 설치'이며 표준등록번호는 'TTAK.KO-04.0152'이다.

효과적인 영상 모니터링 사례 = CCTV 통합관제 시스템은 촬영도 중요하지만 촬영된 내용을 효과적으로 확인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감시 시스템에서 촬영된 내용의 대부분은 AVR(Analog Video Recorder)·DVR·NVR 등을 통해 직접 확인했다.

하지만 촬영된 내용을 다양한 매체를 통해 원하는 위치에서 확인하고 싶은 요구에 따라 PC를 통해 확인하는 방법과 다종다양한 모바일기기를 통해 확인하는 방법들이 등장하고 있다. 수십대 이상의 카메라를 하나의 패널로 연결한 멀티스크린(Multi screen)을 통해 단일 영상을, 혹은 각각의 다수 영상을 분할해서 실감영상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법도 등장하고 있다. 모두 CCTV 통합관제시스템 주변의 아상상황을 효과적으로 감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출시된 기술들이다. 애플 아이폰을 활용한 감시시스템 사례를 [그림 2]에 나타낸다.

 

바이오 인식기술 적용 지능형 CCTV 시스템

 

개요 = 스마트 미디어기기의 모바일 컴퓨팅 기능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면서 지능형 CCTV 시스템 분야에서 이를 활용한 바이오 인식기술이 효과적인 인증수단으로 자리매김 되고 있다. 이동성, 편리성 및 보안성 등을 기반으로 지능형 CCTV 시스템의 기기인증 및 모바일 응용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인증수단으로서 활용되고 있는 추세다.

모바일 바이오인식 기술은 의료정보·금융보안 서비스와 아울러 지능형 CCTV 시스템의 영상보안 기술과 결합되면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바이오인식 기술은 지능형 CCTV 영상감시 융합보안기술로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 지능형 CCTV 바이오 인식기술은 어린이, 여성 및 노인과 같은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한 강력범죄나 사건사고 등의 범죄행위를 지능적으로 탐지해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해결책으로 확산되고 있다.

- 지능형 CCTV 바이오 인식기술은 얼굴인식 등 휴먼식별을 위한 융합보안 기술로 발전하면서 안전, 교통, 재난 및 환경 등 여러 분야의 사회문제 해소를 위한 해결책으로 확산되고 있다.

 

기술발전 추세 = 최근의 지능형 CCTV 바이오 인식기술은 CCTV 시스템 가시거리 내의 객체식별을 물체와 사람으로 구분해 식별하고 나아가 이동식 카메라에 의한 사람의 움직임 및 얼굴인식 기술을 결합한 휴먼 재식별 융합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아울러 범죄자를 대상으로 휴먼 바이오 정보(지문·얼굴·홍체 등)를 등록·관리함으로써 사건의 재범 예방에 주력하고 있다. 특허, 논문 및 표준화 등을 통한 지능형 CCTV 바이오 인식기술의 발전추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L1아이덴티티솔루션, 코젠트시스템, 크로스매치, NEC 등 글로벌 바이오인식 전문기업들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휴먼 바이오 특징을 국제표준으로 제정하고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 국내의 경우 CCTV 시스템에서 사람의 식별 및 검색에 활용할 수 있는 원거리 얼굴인식 기술 개발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아울러 휴먼 바이오 템플릿 보호기술, 원거리 홍채인식 기술 등과 관련된 다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지능형 CCTV 시스템의 모바일 바이오인식 융합기술과 관련된 표준화 대상항목에 대한 국내외 기술현황 및 전망은 <표 2>와 같다.


표준화 연구 = 2012년 5월말 한국인터넷진흥원을 중심으로 스마트폰 제조업체, 통신사업자, 바이오인식 업체, 금융보안 연구기관, CCTV 영상보안 업체, 특허분석 연구기관, 기술표준원 전문위원회, TTA PG505 및 한국바이오인식협의회 등 산·학·연·관 전문가들로 구성된 '모바일 바이오인식 표준연구회'가 발족됐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모바일 바이오인식 표준연구회의 조직도를 [그림 3]에 나타낸다.

 

- 이 연구회의 주요 기구로는 모바일 응용, 보안, 융합서비스 및 특허 등 4개의 기술 분과로 구성돼 있다.

- ABC, ISO 및 ITU 등과 함께 지능형 CCTV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모바일 바이오인식 융합기술 표준을 개발·보급에 주력하고 있다.

-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바이오인식 신규시장 창출과 연구회원사의 공동이익을 추구할 수 있는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기타 전자금융, 모바일 인증 및 원격의료 등과 관련된 모바일 바이오인식 융합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지능형 CCTV 통합관제 시스템 시장동향

 

개요 = 지능형 CCTV 통합관제시스템을 구성하는 가장 핵심 장비인 카메라 모듈은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등의 스마트 미디어기기 카메라 모듈, 지능형 자동차의 인포테인먼트(Information+Entertainment의 복합어) 모듈, CCTV 영상보안 모듈, 의료기기의 카메라 모듈, 디지털카메라의 카메라 모듈, 스마트가전의 카메라 모듈 등 다양한 디지털 장비의 카메라 기능을 대체할 수 있을 만큼 지능화돼 가고 있다.

이처럼 카메라 모듈이 적용되는 제품과 수요산업이 빠르게 확대되면서 2015년 글로벌 카메라 모듈 시장규모는 약 20억개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적용 산업군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가장 두드러지는 적용분야는 역시 휴대폰 분야로 최근 서브 카메라 탑재 비율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면서 관련 카메라 모듈의 수요는 생산되고 있는 휴대폰의 출하대수 규모를 넘어서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13메가 픽셀(PIXEL)급 고해상도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휴대폰이 출시되면서 고화소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태블릿PC와 노트북 등 스마트 디바이스의 시장 확대도 카메라 수요증가를 견인하고 있다.

- 새롭게 주목되는 시장은 차량용 카메라로 휴대폰에 이어 새로운 시장으로 성장하고 있다. 차량용 제품 시장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블랙박스 이외에도 모니터링 시스템·자동주차지원·충돌예방 시스템·차선이탈경보 시스템·운전자상태감시 등 최첨단 ADAS 시스템을 구현히는 데에도 카메라 모듈의 응용은 필수적이다. 업계에서는 가까운 시일 안에 한대당 최고 약 10개 이상의 카메라 모듈이 장착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전세계적인 스마트 워크 보급정책 등에 힘입어 영상회의 시장도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스마트가전 분야에서는 이미 로봇청소기, 스마트TV, 냉장고에 카메라가 적용되고 있으며 향후 스마트 홈 구축을 위한 다양한 시도에도 카메라 모듈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 의료 분야에서는 내시경 같은 영상장비 시장 이외에도 최근 u-헬스의 한 분야인 원격진료 시장의 성장으로 카메라 모듈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서비스 로봇 시장은 새로운 거대시장의 출현을 예고하고 있다. 이외에도 산업용, 군사용 및 항공우주 산업 등의 분야에서 특수 카메라 모듈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기타 지능형 CCTV 통합관제 시스템 전방 산업 분야인 CCTV 영상보안 및 영상회의 분야에도 빠르게 적용되고 있다.

 




그림 3. 모바일 바이오인식 표준연구회
<자료 : 김재성, '모바일 바이오인식 신융합기술 및 표준화 동향', 인터넷&시큐리티 포커스, 2013. 3, p.77>


카메라 모듈의 주요 부품인 이미지 센서, 액츄에이터, 렌즈 및 IR필터, ISP, PCB 등 세부 부품별 개발동향을 보면 향후 카메라 모듈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무선 네트워킹 기술과 접목돼 다양한 산업에 영상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커넥티드(connected) 사회 구현을 위한 핵심 부품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외 지능형 CCTV 통합관제 시스템 시장추이 = CCTV 통합관제 시스템이 급속한 디지털화, 네트워크화, 고화질화, 고성능화 및 다 채널화 추세로 발전하고 있다. 즉, 기존의 아날로그 카메라에서 IP 기반의 네트워크 카메라로 빠르게 가속화되고 있다. 아울러 카메라 기술력도 HD·풀-HD·UHD급으로 전환되면서 영상의 화질도 획기적으로 고급화돼 가고 있다. 이처럼 HD급 이상의 고품질 제품의 판매수량이 꾸준히 증가해 2015년에는 전체 네트워크 카메라 판매량의 60%가 HD급 이상이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글로벌 지능형 CCTV 통합관제 시스템 관련 전후방 전체 시장규모는 2011년 1050억달러에서 연평균 14%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2016년에는 2050억달러의 대규모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지능형 CCTV 통합관제 시스템의 핵심 장비인 네트워크 카메라의 경우 2016년 시장점유율은 전체 매출의 60%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전체 영상감시 시장 매출의 40%를 차지하는 수치다. 글로벌 지능형 CCTV 통합관제 시스템 시장추이를 <표 3>에 나타낸다.

국내 지능형 CCTV 통합관제 시스템 관련 시장규모는 2013년 초 기준 약 1조2000억원 정도로 추정된다. 통합관제 시스템 설치규모는 정부부처, 공공기관 및 지자체 등에서 설치 운영 중인 공공 CCTV 약 35만대, 개인이 설치한 CCTV 약 265만대를 합해 총 300만대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맺음말

 

최근 들어 고의성 방화, 성푹행 및 각종 테러 등으로 인해 치안문제는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관심이 집중되면서 CCTV 통합관제 시스템은 모든 지역과 전체 산업 분야에 필수 요소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특히 인터넷의 광대역화, 디지털 기술혁신에 따른 급속한 가격 하락, 아날로그 통합관제 시스템 대비 저렴한 TCO, 원격 관제 및 통제의 용이성, 네트워크 기반의 유지보수를 통한 비용 절감, 다양한 클라이언트 기기의 보급 확산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대중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처럼 네트워크를 통한 지능형 CCTV 통합관제 시스템에 의한 서비스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이러한 통합관제 시스템 적용지역이 늘어남에 따라 CCTV 통합관제 시스템의 보안문제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CCTV 통합관제 시스템이 점차 IP 환경으로 진화하면서 인터넷 해킹기술을 그대로 CCTV 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어 보안기능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아울러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영상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생활 침해문제 또한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어 이에 대한 법적·제도적인 대응책이 필요하다.

지능형 CCTV 통합관제 시스템 관련 업계에서는 어두운 밤이나 음영지역에서도 물체의 움직임을 식별할 수 있는 저조도 카메라의 개발, 촬영각도의 한계를 극복해 180~360° 각도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의 개발과 아울러 관찰자가 원하는 부분의 영상을 최대한 빠른 시간에 촬영할 수 있는 스피드 돔 카메라의 개발 등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특히 두드러진 개발이슈는 인터넷과 연동해 실시간으로 원격지에서 영상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네트워크 카메라일 것이다.

현재에도 보다 효율성이 높은 지능형 CCTV 통합관제 시스템 구축을 위한 다양한 기술개발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이 산업을 둘러싼 사생활 침해 같은 사회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 '경봉, 제주도 CCTV관제센터 사업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매일경제, 2012. 8. 1.

- '지능형 CCTV 성능시험서비스 테스트베드 구축', 2013년 기술료사업 과제제안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3. 4.

- 'CCTV 기술현황 및 특허정보분석', 2010 유망기술보고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0. 10. 30.

- 문현찬, '지능형 CCTV 기술 및 시장동향', 산업동향분석, 전자부품연구원, 2010. 8.

- '폐쇄회로텔레비전(CCTV) 통합관제 시스템의 설계 및 설치', ICT스탠다드위클리,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13. 4.

- 박세환, 'CCTV 통합관제 시스템의 고해상도 기술 및 시장 동향', CCTV뉴스, 2013. 1.

www.security-technologynews.com

- 김재성, '모바일 바이오인식 신융합기술 및 표준화 동향', 인터넷&시큐리티 포커스, 2013. 3.

- '카메라(모듈)와 영상기반 응용시장 전망과 국내외 참여업체 사업전략', 산업경제리서치, 2013. 4.

- '지능형 영상감시장치(CCTV) 핵심기술·시장 전망과 국내외 참여업체 사업전략', 산업경제리서치, 2013. 4.

- IMS리서치 '지능형 CCTV 통합관제 시스템' 관련 시장조사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