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용 드론 상용화 빨라진다!…국내는?

IT 농업지대 구축 위한 행보 ‘시작’…글로벌 경쟁력 위한 정부 지원 ‘필요’

2015-07-08     김혜진 기자

전세계적으로 드론을 농업에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일본, 미국 등 각국 정부와 업계에서 모두 적극 도입을 논하는 만큼 올해 농업에서의 드론 사용이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

일본·미국 등 전세계 농업용 드론 상용화 붐 ‘한창’

국제무인시스템협회(AUVSI)에 따르면 드론시장은 2025년까지 85조원 규모에 이르고, 이중 상업용 드론의 80%가 농업용 목적으로 사용될 전망이다. 이러한 예측대로 최근 농업에서의 드론 사용에 대한 움직임이 전세계적으로 포착되고 있다.

특히 일본이 가장 대표적이다. 일본은 정부 주도하에 약 20년 전부터 농업용 드론을 개발해오며 농약 자동살포, 농작물 육성 상황 관찰 등 농업에 드론을 다양하게 사용해왔다. 2013년 농업용 드론 보급 대수가 2500대를 넘어섰을 정도. 일본 전체 논 면적의 40%가 드론으로 살충제, 비료를 살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시장조사기관인 시드플래닝은 올해 일본의 용도별 드론 가운데 농약 살포용이 7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했다.

미국도 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정부보다 업계에서의 드론 사용 요청이 적극적인데, 최근 FAA에 승인 신청을 하는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상업용 드론의 경우 25kg이상의 무게를 허용치 않았던 FAA가 5월5일(미국 현지시간) 농업용 비료와 농약을 담은 탱크 운반이 가능한 드론 알맥스(RMAX)의 사용을 허가하는 등 농업에 관대한 모습을 보였기 때문. 업계 전문가들은 올해를 기점으로 미국 농가의 드론 사용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외에도 프랑스, 아르헨티나 등 여러 나라에서 농업용 드론 사용을 적극 추진중이다.

국내, 농업용 드론 이점 활용 방안 모색…‘IT 농업지대’ 육성 계획

이러한 추세는 국내에도 이어지고 있다. 현재 약 200여 개의 농업용 드론을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전라도에서 농업용 드론의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적극 도입하고 있다.

최근 전라남도는 정부, GS그룹과 함께 전남 창조경제 육성전략을 발표했다.

이 전략에 따르면 전라남도는 농수산벤처 창업 1번지 전략을 내세워, 자율주행제조로봇과 드론을 활용해 잡초제거와 농약살포 등 농산물 관리를 이루는 고부가가치 IT 농업지대를 육성할 계획이다.

전라북도도 IT 농업지대로 성장할 전망이다. 국내 민수용 드론기업인 헬셀과 협력, 전북기술지주회사에서 투자키로 합의하며 최근 신드론 설립을 준비중이다.

현재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및 전북대학교와 함께 국내 환경에 최적화된 농업용 드론을 개발하고 있다.

장성기 신드론 대표는 “농업용 드론이 가져오는 이점은 거의 확실시된 상황이고, 국내 중농층들도 이러한 데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농업용 드론이 국내에서 성장할 가능성은 충분하다”며 “다만 기존 사용되는 농업용 헬기가 2억원을 호가할 뿐 아니라 무인헬기 형태로 제작돼 있어 국내 소단위 농경지에 적용키 어려운 점이 있다는 점을 감안해, 다중 날개를 지닌 멀티콥터 형태로 국내에 최적화된 드론을 개발 및 상용화하기 위해 노력중”이라고 전했다.

글로벌 시장 내 경쟁력 ‘부족’…적극적인 정부 지원 ‘필요’

농업용 드론의 이점은 명확하다. 과거와 달리 인구의 고령화와 함께 농업 종사자들이 줄어드는 인력난을 해소시켜 줄 수 있는 것과 더불어 농업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에 현재 전세계적으로 농업용 드론이 각광받으며. 상용화를 적극 추진하는 단계에 있다.

룩스리서치에 따르면 2025년 상업용 드론 시장은 17억 달러로 성장하며 이 중 농업용 드론 시장 규모는 3억5000만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이러한 전망 아래 해외와 더불어 국내 시장도 필요성을 느끼고 성장에 가담하는 중이지만 아직 걸음마 단계다.

업계 전문가들은 농업용 드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시장의 크기도 커지고 상용화가 더욱 빨라지겠지만 국내 농업용 드론이 전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발휘하기까지는 개발 및 상용화에 대한 부분이 해외와 비교해 한참 뒤쳐져 있는 만큼 정부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드론을 활용한 농업 방안을 면밀히 분석해 알리고 유망업체를 선별해 개발이나 사용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정부는 농업용 드론과 관련해 특별히 지원 자금을 배정한 바 없다. 사업계획서 등을 통해 지원 요청이 있을 경우 자금을 지원해주는 중이다.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