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웨이트, 공공시설 CCTV 설치 의무화 움직임 활발

테러 방지 등 위해 국회 내무국방위 1차 심의 통과

2015-07-06     윤효진 기자

쿠웨이트는 2014년 4월29일 국회 내 내무국방위원회 1차 심의에서 테러나 범죄예방을 위해 모든 공공시설에 대해 CCTV를 설치하도록 하는 내용의 법률안을 논의했다.

이 법률안이 2차 심의를 거쳐 최종 통과돼 시행될 경우 정부부처 외에 공항·항만·군사 및 국경시설·국영기업이 운영하는 원유, 정유단지 등 설치 수요는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쿠웨이트 정부는 지난 회기 의회에서 테러방지법 입법을 추진했으나 무슬림형제단 소속 의원들의 반대로 입법 좌절된 바 있다. 이에 따라 걸프지역에서 유일하게 테러방지법이 없는 국가가 바로 쿠웨이트다.

쿠웨이트 정부는 IS 테러리스트로 시리아 내전에 가담했다가 귀국하는 자국민을 심각한 안보 위협요소로 간주하고 이들에 대해서 다른 GCC 국가들처럼 국적을 박탈하는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하는 테러방지법을 재추진하고 있다.

현재 쿠웨이트 정부는 처벌규정이 없어 트위터에 본인의 이름, 주소, 전화번호를 게재하고 미사일 구입을 위해 IS 테러단체에 기부금을 제공했다고 주장하고 있는 자국민에 대해서도 조사하지 못하고 있는 등 시리아 내전에 가담하는 자국민 테러리스트 실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쿠웨이트 의회는 지원병 제도를 의무병 제도로 전환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군복무법안(정부입법)을 1차 심의에서 42:8로 통과시킨 바 2차 심의에서 법안을 약간 수정해 승인할 예정이다.

18~35세 사이의 쿠웨이트 남성은 1년간 의무복무를 해야 하며 군복무 후 10년 동안 연 30일의 예비군 훈련을 받아야 한다.

이 법안은 군복무를 필하거나 면제된 경우가 아니면 공공부문에 취업할 수 없도록 하고 민간부분에서도 군필자에 대해 우선권을 제공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강제력을 확보하고 있다.

쿠웨이트의 최근 CCTV 등 보안장비 수입 동향을 살펴보면 쿠웨이트의 CCTV 수입은 2013년 920만달러에서 2014년 1200만달러로 29.4% 증가했다.

특히 2011~2013년 3년간 중국, 미국, 독일 3개국이 전체의 50% 내외를 차지하며 수입시장을 주도했으나 2014년 이후 우리나라가 1위 수출국으로 급부상했다. 2015년 1~3월 한국의 대쿠웨이트 CCTV 수출도 전년동기 53%가 증가하는 등 선전 중이다.

쿠웨이트에서 CCTV를 본격적으로 설치하기 시작한 시기는 2001년부터로 주로 원유, 정유화학, 플랜트 시설이나 은행이 주 수요처였다. 현재는 정부관공서, 금융기관 및 회사, 금시장, 수퍼마켓, 백화점, 연구소 등 점차 다변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무역관이 접촉한 쿠웨이트 현지 보안업체 S사 바이어에 따르면 보안장비분야는 그동안 정치적인 요인으로 인해 쿠웨이트 정부가 미국, 유럽산을 선호했던 측면이 있다.

저가 중국산을 특히 기피하는 쿠웨이트 바이어에게 고가의 유럽·미국산 대신에 기술력에서 뒤지지 않는 한국산 CCTV를 찾는 경향이 늘고 있으며 ▲180도 회전 ▲고해상도 ▲얼굴 인식 ▲금속 및 무기 탐지 등의 기능이 요구되는 CCTV가 인기를 끌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일반적인 CCTV 이외에 DVR, 적외선 카메라, IP 카메라도 진출 유망품목으로 꼽을 수 있다.

<자료원: 주쿠웨이트 한국 대사관, 쿠웨이트주거복지청, Kuwait Times, 바이어 직접접촉, KOTRA 쿠웨이트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KOTRA & globalwindow.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