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가 주목하는 드론 산업, 우리나라의 현황은?

정부 주도의 K-드론 생태계 구상

2020-09-17     석주원 기자

[자료제공: 프리뉴]

군사용으로 개발된 무인항공기, ‘드론(Drone)’은 조금씩 활용 분야를 확장해 이제는 산업 전반에서 매우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특히 드론은 사람이 직접 가기 어려운 장소를 어렵지 않게 갈 수 있어서, 최근에는 탐색이나 감시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얼마 전 홍수로 인해 인명 피해가 발생한 지역에서도 사망자 수색에 동원된 바 있다. 이처럼 갈수록 활용 영역이 넓어지고 있는 드론 산업의 전망은 어떨까?

 

국내외 드론 산업 현황

드론이 처음 등장한 1935년 이래 지금까지, 드론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여전히 군수 분야다. 군사용 드론은 미국이 운용하고 있는 무인 정찰기와 폭격기 등이 대표적이며, 향후 전 세계 항공 군사 작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무인기를 대형화 시켜 더 많은 무기를 적재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유·무인 전투기의 합동 작전을 위한 전투 체계도 연구 중이다.

2010년대 중반 반짝 인기를 끌며 전 세계에 드론 열풍을 불러왔던 취미용 드론은 전체 드론 시장에서 군수용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시장 성장세가 둔화되는 추세다. 반면 상업용 드론 시장은 2016년 4억 2천만 달러에서 2025년까지 69억 8천만 달러 규모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내 역시 세계 시장과 사정이 비슷해 군수용 드론 시장 규모가 민수용 드론 시장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두 시장 간의 규모 격차도 매우 컸지만 민수용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격차가 점차 좁혀지고 있다. 2015년 국내 군수용 드론 시장 규모는 1699억 원이었지만, 민수용 드론 시장 규모는 34억 원 수준에 불과했다.

국내

하지만 2016년부터 2019년까지 민수용 드론 시장 규모가 연평균 약 3배씩 성장하면서 민수용 드론 시장 규모가 빠르게 팽창했다. 2016년 100억 원, 2017년 300억 원, 2018년 1050억 원, 2019년엔 3000억 원의 시장 규모를 달성하며 그야말로 폭발적인 성장세를 기록했다.

국내 민수용 드론의 주요 활용 분야는 농·임업이 5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촬영용이 20%, 건설·측량이 10% 순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지리 정보, 물류, 연구용 등 활용 분야가 갈수록 다양화 및 세분화되고 있다.

이와 함께 국가공인 드론 조종자 자격증인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자격증을 취득하는 사람들의 숫자도 빠르게 증가 추세에 있다. 국토교통부 보도자료에 따르면 2014년에는 667명만이 드론 조종 자격증을 취득했지만, 2019년에는 상반기에만 2만3408명이 드론 조종 자격증을 취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드론으로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자격증을 반드시 취득해야 하므로, 자격증 취득자의 증가 추세는 드론 관련 산업의 성장세를 보여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드론

 

보안과 안전 분야에서의 드론의 활용

우리나라는 2017년부터 혁신 성장 8대 핵심 사업 중 하나로 드론을 선정해 국가 주도의 드론 산업 육성 방안을 마련했다. 이를 토대로 물품 수송, 산림 보호 및 감시, 시설물 안전 진단, 국토 조사 및 순찰, 통신망 활용, 해양 관리, 농업 지원, 영상 촬영 등 다양한 분야에서 드론 시범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예측 성장률이 높은 분야가 보안과 안전 산업이다. 미국의 드론 기업 틸 그룹(Teal Group)은 2017년 발표한 자료를 통해 2017년부터 향후 10년간 산업용 드론 시장의 연평균 성장율은 43.9%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으며, 세부 적으로는 건설, 시설 점검, 정찰 감시 분야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점쳤다.

점검과 감시 분야에서 드론이 활약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촬영 기술과 영상 분석 기술, 그리고 초고속 무선 통신 기술이다. 상공에서 지상을 넓게 촬영하면서도 피사체를 정확히 포착하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해상력이 뛰어나야 한다. 드론에 장착해야 하므로 가벼워야 하며 비나 바람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도 좋아야 한다. 여기에 화재나 실종자 탐지를 위한 열감지 센서와 야간 감시를 위한 IR 센서가 내장된다면 활용도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최근에는 1km 떨어진 피사체를 식별할 수 있을 정도의 고성능 카메라들이 드론에 장착되고 있는 추세다.

드론과 카메라를 접목한 감시 성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인공지능 기반의 영상 분석 기술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카메라가 먼 거리의 피사체를 촬영했을 때 사물인지 사람인지, 사람이라면 어떤 상태인지 등을 명확히 구분해 낼 수 있어야 한다. 현재 드론 영상 분석 시장은 기존의 영상 분석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진출하면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와 함께 드론의 기동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동형 차량 기지와 간이 관제 시스템 구축 사업도 속도를 내고 있다.

 

정부의 드론 산업 지원 정책

정부는 공공기관이 주도하는 드론 활용 사업을 통해 민간 드론 개발 및 서비스업 활성화를 이끌어내려 하고 있다. 공공 건설, 하천 관리, 산림 보호, 수색 및 정찰, 에너지, 국가 통계 등 공공사업 분야에서 5년간 3700여 대의 드론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3500억 원 규모의 시장 창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드론 산업 생태계라고 할 수 있는 한국형 K-드론 시스템 구축 사업도 추진한다. K-드론 시스템은 5G 이동통신, 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 기반 한국형 무인 교통 관리 시스템(UTM, UAS Traffic Management)의 형태로 개발될 예정이다.

K-드론 시스템의 핵심 역할은 인공지능 관제,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형 및 기상 정보 분석, 비행 경로 분석, 5G 초고속 통신 기반의 초연결과 실시간 드론 위치 식별 및 공유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자동 관제 서비스다. K-드론 관제 시스템 안에서 각 비행체는 정해진 고도에서 운행하게 되며, 드론 조종자는 안전한 비행을 위한 항공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규제혁신 샌드박스 시범 사업을 통해 그동안 규제에 묶여 연구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드론 업계를 돕는다. 우리나라는 휴전이라는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하늘길에 대한 규제가 유독 심한 편이다. 특히 서울은 전체가 비행 금지 혹은 제한 구역으로 묶여 있어 허가 없이 드론을 날렸다가는 과태료를 물게 된다. 이러한 규제를 개선하기 위해 정부는 올해 드론의 분류 기준을 새롭게 정비했으며, 이 새로운 분류 방식에 따라 규제를 차등적으로 적용하는 방식으로 규제를 완화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이 외에도 드론 개발과 시험 비행을 위한 전용 비행시험장도 구축할 계획이다. 드론 전용 비행시험장은 통제센터, 이착륙 시설, 정비고 등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정부의 드론 사업 육성 계획 로드맵

2017.12.21. 드론 산업 발전 기본 계획 구상

  • 2026년까지 시장 규모 4조 4천억 원 달성, 기술 경쟁력 세계 5위권 진입, 산업용 드론 5만 3천 대 상용화 목표.
  • 추진 과정에서 향후 10년간 17만 명의 고용 창출 효과와 29조 원의 생산·부가가치 기대

2019년.04.05. 드론 활용의 촉진 및 기반조성에 관한 법률 제정

  • 드론의 정의를 ‘조종사가 탑승하지 아니한 채 항행할 수 있는 비행체’로 명문화
  • 5년마다 기본 계획 수립, 매년 산업계 실태 조사 실시, 드론 산업 협의체 운영 법제화
  • 특별자유화구역*의 지정 및 운영과 드론 시범 사업 구역을 정규화 할 수 있는 드론 산업 육성·지원 근거 마련
  • 다수의 드론 운영 또는 드론 교통에 대비한 드론 교통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는 근거 마련

2019.10.16. 드론 분야 선제적 규제 혁파 단계별 계획 마련

  • 드론 기술 발전 양상을 예측하여 단계별 시나리오 도출
  • ▲비행 기술(조종 비행→자율 비행) ▲수송 능력(화물 탑재→사람 탑승) ▲비행 영역(인구 희박→밀집 지역) 등 3가지 기술 변수를 종합해 5단계 시나리오 도출
  • 발전 단계별 규제 이슈 총 35건 발굴·정비(활용과 안전의 균형 도모)
  • 수소·전기차, 에너지 신산업 등 타 분야로 확산 적용

2019.12.27. 2020년도 무인이동체 기술 개발 사업 시행 계획

  • 무인이동체 원천 기술 개발 사업 추진, 2026년까지 사업비 약 1703억 원 규모
  • 저고도 무인비행장치 교통 관리 체계 기술 개발 지속 추진
  • DNA+ 드론 기술 개발 추진, 2024년까지 450억 원 규모

 

향후 드론 산업 발전 전망

초창기 드론은 사람의 시야 범위 안에서 직접 육안으로 관찰하거나 드론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시야 공유를 통해 조종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최근에는 지정된 경로를 자율적으로 비행하는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특히 5G 통신 인프라의 확장은 통신 제약 없이 눈에 보이지 않는 구역에서도 센서와 카메라를 통해 스스로 판단해 비행하는 인공지능 자율주행 드론 개발을 가능케 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발표에 따르면 2016년 전 세계 드론 시장의 규모는 7조 2천억 원 수준이었지만, 2022년에는 43조 2천억 원으로, 2026년에는 90조 원 이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에서도 2013년 정부에 신고된 드론 수는 193대에 불과했지만, 2019년에는 9342대로 40배 이상 증가했다.

이에 국내 대기업들도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GS그룹은 제주도 GS칼텍스 무수천주유소에서 각각 1.3km 떨어진 펜션과 0.8km 떨어진 초등학교에 드론으로 도시락을 배달하는 시연을 보여준 바 있으며, 두산그룹은 자회사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을 설립해 국내 드론 기업 프리뉴와 협엽으로 수소연료전지를 장착한 드론을 개발하고 있다. 현대차그룹도 드론 택시 등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사업부를 설립하고 2023년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 중이다.

다만, 우리나라의 경우 드론을 활용한 서비스 시장에 대한 전망은 밝은 편이지만, 제조 기반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어, 앞으로 우리나라가 세계 드론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열악한 제조 기반 설비와 기술을 어떻게 보강하느냐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