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파괴로 인간의 야생동물 관련 전염병 위험 증가

2020-04-06     김범규 기자
환경파괴로 야생동물 접촉이 늘어나면서 전염병 위험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입법조사처는 7일 환경파괴로 늘어나는 전염병 현황 및 대응 방안을 다룬 이슈와 논점 보고서를 발간할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국회입법조사처

조사처에 따르면 기후변화로 산불·가뭄·홍수 등이 많이 발생하고 경제개발로 생태계를 파괴하는 일이 많아지면서 서식지를 잃은 야생동물과 인간의 접촉이 늘어나고 있다. 이로 인해 인간이 인수공통전염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질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003년 발생한 사스(SARS)는 ‘박쥐→사향고양이→인간’, 2015년 발생한 메르스 (MERS)는 ‘박쥐→낙타→인간’ 경로의 전파 가능성이 보고된 바 있다.
 
2019년 코로나-19 (COVID-19)의 인간 전파 경로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다른 중간 숙주 가능성도 있지만 ‘천산갑’이 가장 유력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환경정책의 관점에서 코로나19 (COVID-19) 사태는 멸종위기 야생 동물의 불법 밀수·공장식 축산정책·기후변화 및 생태계 파괴 등 환경정책의 사각지대에서 발생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조사처 관계자는 “코로나19사태를 계기로 야생동물 관리 강화·친환경 축산정책의 확대·기후변화정책에 대한 유관부처 협력 강화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