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키스탄 정부의 IT 산업 본격 육성, 한국 기업 진출 가능성은?

영어 가능한 저렴한 IT 인력 30만 명 규모, 신규 인력 매년 2만 명 충원

2019-11-26     최형주 기자

[CCTV뉴스=최형주 기자] 지난 9월 파키스탄이 전자상거래 분야에서의 신규 진입 및 거래 확대, 수출 증진을 위한 국경 간 거래 원활화, 산업 경쟁력 제고 등을 위해 전자상거래에 특화된 ‘전자상거래 육성정책(e-Commerce Policy Framework)’을 발표했다. 기사를 통해 파키스탄의 IT산업 규모와 정책 프레임을 통해 현지 진출 가능성을 가늠해보자.

 

인력 인프라로 성장하는 파키스탄 IT 산업

2017/18 회계연도 1분기 파키스탄의 전자상거래 등록 기업은 496개에 불과했다. 그러나 2017/18 회계연도 말 등록기업이 1094개사로 증가했고, 2018/19 회계연도 1분기에는 1242개사로 전년 동기대비 1.5배 증가했다. 이와 함께 전자상거래 횟수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전자상거래 시장의 급격한 성장은 파키스탄 국립은행(State Bank of Pakistan, SBP)의 2017/18 회계연도 연례 보고서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파키스탄 국립은행은 보고서에 ‘서비스의 디지털화(Digitization of Services in Pakistan)’ 항목을 별도로 추가했고, 이에 따르면 17/18 회계연도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약 991억 루피(약 7442억 원)로 직전 회계연도 대비 92% 증가했다.

파키스탄 전자상거래 시장의 이러한 성장력은 인터넷 접근성 향상에서 기인한다. 2014년 518만 명에 불과했던 인터넷 가입자는 2018년 6월 5610만 명으로, 5년 새 약 11배 증가했다. 

다만 성인 인구의 약 20%만이 은행 계좌를 가지고 있다는 특성 때문에 고객이 물건을 수령할 때 돈을 지불하는 COD(Cash of Delivery) 방식이 거래에 사용되고 있고, 파키스탄 정부는 이를 성장 저해 요소라고 판단해 이러한 방식의 거래를 줄이고자 해외 기업과 협력해 다양한 온라인 도소매 지불 시스템 도입을 추진 중이다.

파키스탄 전자상거래 시장의 성장 잠재력은 현재 인구의 특성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바로 전체 인구의 64%가 29세 이하이며, 젊은 층의 스타트업 취업 선호도가 높다는 점이다. 

또한 파키스탄은 5천 개의 IT회사와 콜센터를 보유하고 있고, 그 숫자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영어 구사가 가능한 소프트웨어 인력 약 30만 명을 보유하고 있고, 13개의 소프트웨어 기술단지도 운영 중이다.

파키스탄 IT 시장에서는 스타트업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정부가 혁신 창업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민간협력을 통해 2016년 인큐베이션 센터(National Incubation Center, NIC)를 설립하고 스타트업들을 위한 무료 공간, 교육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2018년 말 기준 총 290명의 창업가가 NIC 프로그램을 거쳐 창업했다.

정주헌 KOTRA 파키스탄 카라치 무역관은 “파키스탄은 약 30만 명의 저렴하고 영어 구사가 가능한 IT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매년 약 2만 명 이상의 신규 IT 인력이 대학 등으로 부터 시장에 공급되는 등의 이점을 보유하고 있어 향후 전자상거래 시장의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파키스탄 정부의 IT 정책 프레임

앞서 살펴본 것처럼 파키스탄의 디지털 산업은 아직 초기 단계지만 지속적으로 성장 중이다. 이에 파키스탄 정부는 비용 절감을 통한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 디지털 경제 촉진 등 거시적 정책 방향 설정 등의 내용을 담은 정책 프레임을 발표했다.

파키스탄 정부는 전자상거래가 향후 30년간 약 1억 3천만 개의 일자리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자상거래 육성정책 목표는 다음과 같다.

정책의 본격적 추진을 위해 파키스탄은 먼저 NECA설치를 우선할 예정이다. 또한 반품 또는 손상 제품의 재수출 규정을 위한 관련 세금과 관세제도 정비, 전자조달 시스템 구축, 6천 달러 이상 규모 전자상거래 기업의 증권 거래위원회(SECP) 등록 의무화 등 세부적 정책 과제들을 정리할 방침이다.

국가물류정책도 새로이 정비된다. 파키스탄은 물류 시스템의 자동화를 통해 3자 물류(3rd Party Logistics, 3PL)를 활성화, 전자상거래 기업이 3PL 기업에 운송과 재고 관리 등의 기능을 적극 아웃소싱 할 수 있도록 하는 국가물류정책도 수립한다.

기업 생태계의 98%를 차지하는 320만 중소기업들을 위한 기회 창출 노력도 활발하다. 중소기업들이 전자상거래 기능을 통해 사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역량 강화 프로그램이 운영될 예정이며, 스타트업 육성에도 박차를 가한다. 또한 소상공인도 전자상거래를 이용해 소득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주정부 차원에서는 전자상거래 기업에 대한 일반판매세를 5%로 낮춰 다양한 전자상거래 기업을 유치하고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국 기업의 파키스탄 진출 가능성

파키스탄의 GDP에서 서비스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60%이며, 이는 서남아 국가 평균보다 높다. 따라서 파키스탄 정부는 서비스 산업 부문의 디지털화 촉진이 향후 핀테크, 전자정부, IT관련 스타트업 등 전자상거래 산업 역량 확충으로 이어질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정주헌 KOTRA 파키스탄 카라치 무역관은 “파키스탄의 전자상거래 산업의 주요 고객은 20대와 30대이고, 오프라인보다 온라인 매장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웹사이트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며 “다만 해당 연령대의 수입규모가 크지 않아 가격에 매우 민감하므로 경쟁력있는 판매가격 책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앞으로 전자조달시스템 등 정부 차원의 e거버넌스 시스템이 구축되고, IT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의 육성과 교류 부분에서 한국 기업이 협력을 통한 현지 진출이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며 “다만 구매자들이 판매자를 신뢰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어 COD 결제방식 비율은 쉽게 낮아지지 않을 것임을 감안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