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4차산업시대 중요요소 정보보호 위한 중장기 R&D 전략 추진

정보보호 중장기 핵심기술 개발, 혁신적 R&D 추진 등 4가지 핵심 전략 제시

2019-03-05     이승윤 기자

[CCTV뉴스=이승윤 기자] 정부가 4차 산업혁명 시대 혁신성장을 위한 중요한 기반기술인 정보보호 기술 강화를 위한 중장기적인 전략을 제시했다. 특히 강조한 바는 2026년까지 지속적인 정보보호 기술개발을 통해 G2급 글로벌 수준의 정보보호 기술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다.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이하 4차위)는 지난 2월 26일 제10차 회의를 개최하고 4차 산업혁명 지속 가능성을 뒷받침하기 위해 급변하는 사이버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관련 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해 추진해야 할 민간부문 정보보호 R&D 중장기 전략을 제시했다.

이날 4차위 장병규 위원장은 모두 발언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 혁신성장을 위한 기반기술인 정보보호 R&D가 중요하다”며, “우리나라는 그 동안 정보보호 R&D 투자를 꾸준히 늘려왔지만, 여전히 R&D 투자 비중은 해외 선진국에 비해 낮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진행하고 있는 정보보호 산업 핵심원천기술 개발 사업 규모가 2015년 298억 원에서 올해는 619억 원으로 약 2배 이상 증가했다. 그러나 과기정통부 조사에 따르면, ICT R&D 대비 정보보호 R&D 비중은 미국 15.9%, 일본 20%, 한국 6.5%로 나타나 투자 비중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차위 장병규 위원장은 “국민의 사이버 안전 뿐만 아니라 급성장하고 있는 정보보호 산업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정보보호 기술개발에 집중적으로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에 제시된 민간부문 정보보호 R&D 중장기 전략은 4차 산업혁명시대 국민 사이버안전을 확보하고, 정보보호산업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R&D 중장기 전략이다.

이에 정부는 4차 산업혁명 지속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핵심 분야인 정보보호 기술 강화를 위해 △정보보호 중장기 핵심기술 개발, △혁신적 R&D 추진, △정보보호 산업경쟁력 강화, △수요자 참여 R&D 생태계 조성 등 4가지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먼저, 4차 산업혁명 시대 진전에 따른 새로운 보안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ICT 생태계 전영역(콘텐츠-플랫폼-네트워크-디바이스) 보안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중장기 핵심기술개발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 비식별화, 양자컴퓨터 대응 암호 등 데이터 보호 기술과 ICT 서비스 플랫폼 침해 공격을 자동으로 탐지·분석·대응·예방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5G 기반 융합서비스 보호를 위해 지능형 엣지보안 등 초연결 네트워크 보안 기술과 급증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대한 악성행위와 신규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또한, 관제센터(KISA 인터넷침해대응센터 등), 이동통신사, 금융사 등 기술수요처를 통해 중점기술들을 실증하고, 연구 성과물의 활용성을 높일 계획이다.

둘째로, 정보보호 기술 혁신을 위해 창의․도전적 신기술 개발을 유도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생활안전 분야 R&D도 추진할 계획이다. 올해부터 사이버보안 그랜드 챌린지를 추진해 신기술 분야 우수연구자를 집중지원, 고난이도 신기술 연구와 미래 위협에 대한 장기적 연구를 위해 정보보호 전문연구실을 확대 개편하고 사생활 침해, 치안 등 국민 실생활과 밀접한 사이버보안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정보보호 리빙랩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셋째로, 정부는 정보보호 산업 지원을 위해 우수 스타트업 발굴‧기술지원, R&D 데이터 공유, 전문 인력양성, 기업 국제공동연구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기존 제안서 위주의 선정방식을 탈피해 투자자 관점으로 우수 스타트업을 선별해 입주공간부터 기술개발, 사업화, 해외진출까지 원스톱 지원하고, 기술개발에 필요한 각종 사이버위협 데이터셋을 구축·공유하고 개발된 결과물을 실증·검증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지역전략산업과 연계한 융합보안 인력 양성 전문대학원(2019년, 3개), 기업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국제공동연구 R&D 등을 신설해 기업 기술개발 활동과 글로벌 진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수요자 참여기반의 개방형 연구 생태계를 조성하고 정보보호 기술개발 전략의 지속성을 강화할 방침이다. 공공 및 민간 현장에서 요구되는 사항이 반영돼 성과까지 이루어지도록 수요기관협의체와 성과확산전담반을 운영하고, 국경 없는 사이버전, 국가안보 위협 대비를 위해 장기적으로 기술개발 전략을 수립‧관리하는 기술전략 연구실을 운영할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중장기 전략과 기술개발을 통해 2026년까지 G2급 글로벌 수준의 정보보호 기술경쟁력을 확보(기술수준 2017년 85.5%→2026년 95%)하고, 산업의 글로벌 제품 경쟁력 강화와 사이버위협 피해저감 등의 성과를 도출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