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TV뉴스=정환용 기자] 1970년대부터 슈퍼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등 고성능 연산이 필요한 컴퓨터에는 2개 이상의 CPU를 장착해 사용하고 있었다. 당시의 CPU는 프로세서 하나가 코어 하나였고, 같은 크기의 다이에 집적하는 트랜지스터의 숫자를 늘리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2005년 처음으로 프로세서 하나에 2개의 코어를 적용한 듀얼코어 CPU가 등장했고, 이후 프로세서의 발전은 속도와 더불어 코어의 숫자도 함께 증가하는 양동작전으로 진행되고 있다.

인텔의 주력 라인업인 코어 5 프로세서는 7세대 카비레이크까지 쿼드(4)코어 구성이었다가, 8세대 커피레이크부터 헥사(6)코어 구성으로 숫자가 늘었다. 게이밍 PC를 기준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쿼드코어 프로세서지만, 향후 업그레이드를 계획하고 있는 사용자들은 헥사코어 이상의 프로세서를 사용하게 된다. 성능에 대해 좀 더 욕심을 낸다면 논리 프로세서 숫자가 2배인 i7 시리즈가 있고, 더 많은 코어 숫자를 원한다면 옥타(8)코어 이상의 코어 X 시리즈를 선택할 수 있다.

현재 가장 많은 코어 숫자로 구성된 인텔 코어X 프로세서는 i9-7980XE 익스트림 에디션으로, 서버용 EP 제온 E5-2699 프로세서 등에 적용됐던 옥타데카(18)코어 구성이다. 200만 원대의 높은 가격으로 진입 장벽이 높긴 하지만, 과거의 제온 시리즈처럼 일반 소비자가 접근조차 할 수 없었던 때와는 많이 달라졌다. 업계 전문가가 아닌 사용자도 10코어 이상의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HEDT 컴퓨터를 활용하기 시작하면서, 인텔은 전 세대인 카비레이크와 달리 i9 라인업을 새로 구축했다. 현직 베스트셀러인 쿼드코어 프로세서를 2개 장착한 것보다 많은 숫자의 스레드를 어떻게 활용할지 알아보자.
멀티코어 프로세서, 어떻게 활용되나
2006년 막바지에 출시된 인텔의 첫 쿼드코어 프로세서인 ‘켄츠필드’ 시리즈는 출시 13년째인 지금도 사용되고 있을 정도로 베스트셀러이자 스테디셀러였다. 일부 사용자들이 아직도 현역으로 사용하고 있는 켄츠필드 시리즈의 대표작인 Q6600은, 최근 출시되는 고사양 게임의 최소사양 기준점이 되고 있기도 하다. 심지어 2016년 출시된 ‘라이즈 오브 더 툼 레이더’의 최소사양은 인텔 i3-2100(듀얼코어 4스레드)인데, 그래픽카드의 조합에 따라 Q6600으로도 구동할 수 있었다.

컴퓨팅 분야에서도 다다익선이 적용되는 만큼, 코어 숫자가 많으면 많을수록 종합 성능이 향상된다. 가령 최대 4개의 스레드를 활용할 수 있는 동영상 인코딩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동작 속도 3.5GHz에 스레드 2개인 프로세서보다는 3.2GHz에 스레드 4개인 프로세서의 작업 속도가 더 빠르다. 다만 PC 게임의 경우 코어를 여러 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가 아직 많지 않고, 멀티코어를 지원하는 게임도 2~4개를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멀티코어를 활용하는 프로그램을 주로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모든 코어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겠지만, 항상 모든 코어를 100% 가동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파워서플라이의 정격출력이 500W라 해서 PC 하드웨어 출력을 500W까지 끌어올리는 것은 위험한 것과 마찬가지다. 게다가 장시간 100%로 가동하는 프로세서는 발열을 처리하는 것에도 상당히 신경을 써야 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결국 소프트웨어가 얼마나 많은 코어를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지에 따라 성능 향상 여부가 갈린다는 것이 핵심이다.
많으면 많을수록 종합 성능이 높아지는 고사양 프로세서는, 이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출 때 빛을 발한다. 국내에서는 인터넷방송을 진행하는 사용자들이 2014년 출시된 하스웰-E i7-5960X를 사용한다는 것이 알려지며 고사양 프로세서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 확산됐다. 현재 유튜브, 트위치 등 게임 콘텐츠를 방송하는 사용자들이 주로 옥타코어 이상의 고사양 프로세서를 활용하는데, 여러 가지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환경에서는 코어의 동작 속도보다 코어 숫자가 더 많은 것이 훨씬 유리하기 때문이다.

모 인터넷 BJ는 커뮤니티를 통해 적지 않은 BJ들이 i9 프로세서 기반의 PC를 방송용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고사양 게임을 실행하면서 해당 영상을 캡처보드로 녹화하고, 이를 송출용 영상으로 인코딩해 스트리밍 사이트에 적정 해상도로 송출한다. 이 작업들이 모두 실시간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프로세서가 효율적으로 업무를 분배해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명령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단순 계산으로도 게임과 영상 인코딩, 스트리밍을 지연 없이 동시에 수행하려면 물리 코어가 6개 이상 필요하다. 소프트웨어가 멀티스레딩에 최적화돼 있다 하더라도, 같은 숫자의 논리 프로세서와 물리 코어의 종합 성능 차이는 확연하다. 게다가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지원하는 해상도가 점점 높아지면서 요구 사양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오버클럭을 염두에 두지 않더라도 다중 작업에 있어서 코어 숫자가 중요한 이유다.
최강의 HEDT PC 프로세서, i9-7980XE

i9 프로세서 구입을 염두에 두고 있다 해도 가격 대비 성능을 염두에 두지 않을 순 없다. 가장 높은 사양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목적인 사용자는 그리 많지 않고, 자신의 사용 성향에 가장 적합한 PC를 합리적인 가격으로 구성하는 것이 이상적인 계획이다. 무엇보다 고성능을 요구하는 작업의 사용자 범주가 전문가에서 일반인으로 확장되고 있고, 작업 시간을 줄이는 것이 시스템 비용보다 우선시 되는 경우도 점점 그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심지어 작업 별로 여러 대의 PC를 운용하는 것보다는, 한 대의 HEDT PC를 제대로 구성하는 것이 비용 면에서 좀 더 유리한 상황까지 왔다.
코어X 시리즈 최강의 i9-7980XE의 코어 당 동작 속도는 2.6GHz다. 터보부스트 속도도 최대 4.2GHz로, 코어 하나만 보면 i7-8700K보다 떨어진다. 싱글 코어 벤치마크의 점수에서도 8700K가 앞선다. 하지만 7980XE의 코어 숫자는 18개, 논리 프로세서는 36개로 구성돼 있다. 8700K를 5.0GHz로 오버클럭했을 때 CPU-Z 벤치마크 점수는 멀티 스레드 약 4450점이다. 오버클럭을 하지 않은 7980XE의 같은 테스트 점수는 9000점에 육박한다. 3DMark, 시네벤치 등의 벤치마크 프로그램 결과 역시,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수준의 점수가 쏟아지면서 그 성능을 입증한 바 있다.
결국 코어X 시리즈, 그 중에서도 가장 높은 성능의 i9-7980XE는 그 선택의 장벽이 조금씩이나마 낮아지고 있다. 아직 그 벽의 높이가 ‘낮다’고는 할 수 없지만, 18코어 프로세서의 성능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 점점 늘고 있다는 점은 사실이다. 제대로 된 냉각 시스템을 갖춰 코어 당 속도를 3GHz 이상으로 끌어올리면 그 매력이 더욱 향상된다. 기존의 시스템으로 1시간이 걸리던 작업을 절반이나 그 이하로 줄일 수 있는 점은, 돈보다 시간이 더 중요한 작업자에게 가격 이상의 매력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명심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