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것이 연결된 세상, 스마트시티 미래 선보인 ‘보쉬’
상태바
모든 것이 연결된 세상, 스마트시티 미래 선보인 ‘보쉬’
  • 신동훈 기자
  • 승인 2018.01.31 13: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CCTV뉴스=신동훈 기자] “오랫동안 스마트 시티는 상상 속의 일이었지만, 우리는 그것을 현실로 만드는데 기여하고 있다.” - 스테판 하르퉁(Stefan Hartung) 보쉬그룹 부회장

UN에 따르면, 2050년까지 전 세계 인구 약 2/3가 광역 도시권에 거주하게 된다. 이미 2014년 이 숫자의 절반 이상이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 도시화는 가속화되고 있고 도시 집중화에 따른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CES 2018에서 보쉬그룹 스테판 하르퉁(Stefan Hartung) 부회장은 “우리는 도시에 대한 새로운 개념이 필요하다. 여기서 한 가지 중요한 쟁점은 도시를 스마트하고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드는 기술이다. 장기적으로 인텔리전스(intelligence)가 없는 도시는 도태될 것이고 결국 교착 상태에 빠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보쉬는 스마트 모빌리티, 공기 질 향상, 편리성 추구, 사회안전을 위한 보안, 기타 다양한 새로운 서비스들을 제공함으로써 도시와 지역 사회가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보쉬는 도시와 지역 사회의 삶의 질을 훨씬 더 향상시키는 것에 중점을 두고 비즈니스를 진행하고 있다.

하르퉁 부회장은 “스마트시티에 있어 보쉬는 종합적인 포트폴리오, 분야를 뛰어넘는 지식, 센서/소프트웨어/서비스 등과 관련된 탁월한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다. 보쉬는 이 모든 것을 단일 소스에서 제공하고 있다”고 하르퉁 부회장은 말했다.

CES 2018에서 보쉬는 도시를 스마트하게 만드는 다수의 새로운 솔루션을 선보였다. 실시간으로 공기 질을 측정/분석하는 새로운 컴팩트 유닛, 강물 수위의 디지털 모니터링을 통해 홍수의 위험을 미리 경고해주는 시스템, 운전자를 보다 편리하게 해 주는 완전 자동 주차 공간 서비스 등 스마트시티 내 다양한 솔루션들을 소개했다.

IT 업계 거대한 화두로 떠오른 스마트시티: 보쉬의 새로운 비즈니스의 기회

바르셀로나, 서울, 런던 등 세계 주요 도시들은 이미 ‘스마트화’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에 따르면, 2020년까지 스마트시티 시장은 매년 19% 성장 8천억 달러 규모에 달하게 될 것이다. 보쉬는 이를 큰 비즈니스 기회로 보고 있다.

하르퉁 부회장은 “오랫동안 스마트시티는 상상 속 도시였지만, 보쉬는 현실로 만드는데 기여하고 있다. 보쉬는 커넥티드 시티를 기술적으로, 상업적으로 성공시키기 위한 좋은 위치에 있다”고 말했다.

보쉬는 샌프란시스코와 싱가포르, 톈진, 베를린, 슈투트가르트 등 전 세계 14개 도시의 대규모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고 앞으로, 추가 프로젝트에도 참여할 계획이다. 지난 2년 동안 보쉬의 다양한 분야를 넘나드는 프로젝트들의 매출은 두 배로 성장해 약 12억 3500만 달러에 달하고 있으며 이 수치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예를 들어, 샌 리안드로(Bay Area city of San Leandro)에서 보쉬는 약 5천 개의 가로등에 LED를 장착하고 시내 가로등을 원격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공급했다. 이를 통해 실제로 필요한 경우에만 가로등이 켜지게 됐다. 샌 리안드로(San Leandro)는 이 솔루션으로 향후 15년 동안 약 8백만 달러를 절약할 수 있게 됐다.

10만 명이 거주하는 샌 리안드로(San Leandro)의 경우, 센서로 공기 질을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으며 교통 체증이 있는 경우, 카메라들을 통해 자동으로 경로를 변경할 수 있는 솔루션이 구축돼 있다.

연결된 세상 구축 핵심 키워드: IoT, 인공지능(AI)

IoT는 커넥티드 시티를 위한 주요 기반 중 하나이다. IoT는 삶의 모든 분야에 자리 잡고 있다. 가트너(Gartner)에 따르면, 2020년까지 전 세계 가구의 약 15%인 2억 3천만 가구가 인텔리전트하게 연결될 것이다. 이 시장도 2020년에는 연간 시장 규모가 2천 5백억 달러에 이를 정도로 잠재력이 매우 크다. 또한, 화재 경보기, 도난 경보기, 전기 계량기, 가전 제품 등 2백억 개의 기기가 서로 연결될 것이다. 2020년이 가까워질수록 예측숫자가 더욱 늘어나고 있다.

하르퉁 부회장은 “보쉬는 이러한 잠재성을 이미 인지하고 있었다”며 “현재 보쉬 전자제품의 절반 이상이 웹에서 이용 가능하다. 2020년까지 이 비율을 100%까지 달성하는 것이 목표이다. 뿐만 아니라, 보쉬의 제품들을 위한 서비스들도 함께 제공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스마트 시티의 급속한 발전을 이끌고 있는 또 하나의 원동력은 인공지능(AI)이다. 보쉬는 AI 분야의 연구를 더욱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작년에 보쉬는 AI 연구센터를 오픈해 현재 독일 렌닝엔(Renningen), 미국 캘리포니아주 팔로 알토(Palo Alto), 인도 벵갈루루(Bengaluru)에서 100 여 명의 연구원이 근무하고 있다. 2021년까지 보쉬는 AI 연구센터 확장을 위해 약 3억 7000만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보쉬는 앞으로 10년 후, AI가 아닌 제품은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CES 2018 혁신상> 도시 공기의 질 향상시키는 솔루션: 클리모(Climo)

도시 공기의 질 문제는 도시들이 직면한 가장 큰 과제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만 해도 매년 몰려오는 중국발 미세먼지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스마트 기술이 있다면, 도시들은 공기 질 향상을 위해 더 빨리 그리고 더 정확한 선별 조치(targeted action)를 취할 수 있다. 이는 정확한 측정에 의해 좌우된다.

CES 2018에서 보쉬는 인텔(Intel)과 함께 개발한 새로운 솔루션인 클리모(Climo) 미기후 모니터링 시스템(microclimate monitoring system)을 선보였다.

클리모(Climo)는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온도, 상대적 습도 등 공기의 질에 있어 중요한 12 가지 변수를 측정하고 분석한다. 클리모(Climo)는 기존 시스템의 1/100 크기이며 1/10 가격이다. 클리모(Climo)는 ‘스마트시티’ 부문 CES 혁신상(CES Honoree Innovation Award)을 수상하기도 했다.

강물 수위 조기 경고: 디지털 모니터링 시스템

여러 지역에서 기후 변화의 결과로 예측하기 어려운 날씨가 나타나고 있다. 기상 연구원들은 많은 호우로 인해 갑작스러운 홍수가 더 자주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기계식 장치가 강물의 수위를 측정하는데 사용됐다. 이러한 측정 결과는 다른 사람들이 확인하기 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린다. 하지만 홍수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것을 바꿀 수 있다.

보쉬의 디지털 솔루션은 실시간으로 도시와 가까운 강물과 다른 수역의 수위를 모니터링하고 임박한 홍수를 경고한다. 시범 사업으로 보쉬는 독일 루트비히스부르크(Ludwigsburg) 인근 네카르(Neckar) 강에서 이 새로운 시스템을 테스트하고 있다. 초음파 센서들이 모니터링하고 카메라들이 수위와 유속, 처리량의 변화를 트래킹한다. 이 데이터는 프로세싱을 위해 보쉬 IoT 클라우드(Bosch IoT Cloud)로 전송된다.

중요한 임계값을 넘어설 경우, 영향을 받는 자치당국과 주민, 사업주들은 문자 메시지를 통해 사전에 경보를 받게 된다. 이는 그들에게 홍수와 홍수에 따른 피해에 대한 예방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준다. 자주 홍수와 싸우는 인도와 남미의 지방자치단체들이 이 솔루션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커넥티드 파킹으로 주차 스트레스 이제 안녕~

도시 교통은 2050년까지 지금보다 약 1/3 증가할 것이다. 보쉬는 사고, 스트레스, 배기가스가 없는 미래의 모빌리티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CES 2018에서 보쉬는 이런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다수의 솔루션을 선보인다. 도시 교통(urban traffic)은 보쉬가 참여하고 있는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들 중 약 절반과 관련이 있다. 주차는 특히 주요한 포인트이다.

미국의 운전자들은 현재 교통 체증에 묶여 1년에 40시간 이상을 소비하며 그 과정에서 약 1600억 달러를 낭비하고 있다. 이 시간 중 약 1/3은 오직 주차 공간을 찾는데 낭비된다. 이 부분이 보쉬가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분이다.

보쉬는 커뮤니티 기반 주차(community-based parking)를 통해 적당한 주차 공간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해 준다. 차량은 주행하면서 자동으로 주차된 차량들 사이의 공간을 인식하고 측정해 실시간으로 디지털 맵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운전자들은 빈 주차 공간으로 안내를 받게 된다.

보쉬는 슈투트가르트(Stuttgart)를 포함한 독일의 도시들에서 이미 이 서비스를 테스트하고 있다. 올해 로스 앤젤레스(Los Angeles), 마이애미(Miami), 보스톤(Boston)을 포함한 20여 개의 미국 도시에서 테스트가 진행될 예정이다.

2018년 초, 보쉬와 다임러(Daimler)는 새로운 자동 발렛 파킹 서비스(automated valet parking service)를 선보일 예정이다. 슈투트가르트(Stuttgart)에 위치한 메르세데스-벤츠 박물관(Mercedes-Benz Museum) 주차장에서 차량들은 운전자 없이도 스스로 주차 공간을 찾고 주차를 하게 된다. 

완전 자동 주차를 가능하게 해주는 하나의 요인은 차량의 온-보드(on-board) 소프트웨어와 연결된 스마트 파킹 주차장 인프라(smart parking garage infrastructure)이다.

에너지, 경비 절감: 보쉬 DC 마이크로그리드(Bosch DC microgrids)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인 IPCC(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ange)에 따르면 전 세계 에너지의 약 75%가 도시에서 소비된다. 이 중 40%는 빌딩에서 소비된다.

에너지 전망 보고서 BP Energy Outlook 2035는 전 세계 에너지 소비가 2035년까지 30%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보쉬는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는 다수의 스마트 에너지 관리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이 중 하나가 보쉬의 DC(직류) 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이며 이는 대형 빌딩 또는 빌딩 단지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그리드는 재생 에너지원에서 에너지를 공급받기 때문에 특히 친환경적이다. DC 마이크로그리드는 전통적인 동력 장치보다 최대 10% 적은 에너지를 소비한다. 또 하나의 주요 이점은 전력을 스스로 조달할 수 있다는 점인데 이는 더 넓은 그리드에 날씨 또는 보안과 관련된 정전 발생 시 신뢰할 수 있는 동력원의 역할을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