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ISTEP, ‘디지털 역기능 대응 기술과 정책’ 발표 
상태바
ETRI-KISTEP, ‘디지털 역기능 대응 기술과 정책’ 발표 
  • 곽중희 기자
  • 승인 2022.11.15 09: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와 함께 미래 디지털 기술의 역기능 선제 대응을 위한 15대 기술 솔루션과 8대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연구진이 이번 발표한 연구 성과는 ‘디지털 역기능 전망과 대응 방향’으로 발간됐다. 디지털 역기능은 디지털 기술과 그 응용 서비스 활용에서 발생하는 부작용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인터넷, 스마트폰, 소셜 미디어(SNS)와 같은 특정 기술이나 서비스의 역기능에 초점을 맞추거나 정보화 역기능, 사이버 역기능 등 다양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정부는 올해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을 통해 디지털 안전을 포함하는 디지털 사회의 핵심 추진 과제를 제시한 바 있다.

개인의 일상과 비즈니스, 사회적 관계에서 디지털 기술이 필수 인프라가 됨에 따라 디지털 역기능의 종류와 범위, 강도가 더욱 확대되고 있다.

특히, 세대 간 정보 격차, 스마트폰·소셜 미디어 과의존, 게임 중독, 사이버 폭력, 지식 재산 침해, 가짜 뉴스, 인간관계 축소 등은 심각한 사회 문제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역기능을 ▲디지털 격차 ▲디지털 과의존 ▲디지털 결정장애 ▲디지털 치매 등 총 20개 유형으로 구분했다.

연구진은 디지털 역기능에 대비해 선제 대응 방향을 모색함으로써 디지털 역기능으로 인한 위협과 폐해를 환기시켜 보다 나은 미래를 만들기 위한 초석이 되기 위해 본 보고서를 냈다.

미래 디지털 세상에서 디지털 역기능으로 인한 개인의 심리적·정서적 장애를 넘어 경제적 불평등 확대, 편견·차별·책임소재 등 윤리적 문제, 범죄·테러에 악용 등 다양한 형태의 위협에 선제적·효율적 대응을 통해 보다 안전한 미래 삶을 누리기 위한 방향을 제시한 셈이다.

특히, 본 보고서는 인공지능(AI), 블록체인, 메타버스, 지능형 로봇 등 첨단 ICT와 역기능 간 연관성 및 기술별 특성에 따라 역기능의 차별적 작용을 파악하고 기술 진화에 따른 2030년을 전망했다. 아울러 대응 가능한 기술적 솔루션과 정책 방향을 동시에 제시한 측면에서 의미가 깊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또한, 보고서에서 제시된 기술 솔루션이 상용화된다면 디지털 역기능으로 인해 정서적·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피해자는 물론, 사회 구성원 간 사회적 신뢰 형성 등 보다 나은 사회·공동체 형성을 위한 효율적 기술과 정책 개발을 촉진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진이 제시한 기술적·사회적 파급성과 효과성이 높을 15대 기술 솔루션으로는 ▲개인 맞춤형 가상비서 ▲인간과 AI의 창의적 협업 지원 기술 ▲디지털 금융 범죄 탐지 기술 ▲알고리즘 신뢰성 확보 기술 ▲디지털 역기능 전문 디지털 치료 서비스 등을 들었다.

아울러 8대 정책 방향으로는 ▲디지털 포용 및 신뢰 지향의 사회적 자본 확충 ▲디지털 역기능 대응 교육/참여 확대 ▲AI-인간의 협동형 직업·직무 개발 등을 제시했다.

ETRI 김명준 원장은 “미래에는 디지털 역기능으로 인한 정신·신체·경제활동·공공안전 등에 대한 영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본 보고서가 제시한 디지털 역기능 기술 솔루션과 정책 방향이 미래 디지털 역기능에 선제적 대응과 인간-디지털 기술 간 안전한 공존 사회를 견인하는 초석이 되는데 이바지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