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 이상훈 교수팀, 천연 붉은 색소 만드는 미생물 균주 개발
상태바
카이스트 이상훈 교수팀, 천연 붉은 색소 만드는 미생물 균주 개발
  • 황민승 기자
  • 승인 2021.04.09 15: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딸기우유, 사탕, 매니큐어, 립스틱 등 다양한 산업적 부가가치 기대
포도당으로부터의 카르민산 생합성 경로 개요도 [이미지=카이스트]
포도당으로부터의 카르민산 생합성 경로 개요도 [이미지=카이스트]

카이스트 연구진이 딸기우유와 사탕, 매니큐어, 립스틱 등 식품 및 화장품 산업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천연 붉은 색소를 생산하는 미생물 대장균 균주를 최초로 개발했다.

이 균주를 활용하면 기존 방식 대비 간단하고 효율적인 색소 생산이 가능해져 산업화가 이뤄지면 상당한 부가가치 창출이 예견된다.

카이스트는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 연구팀이 식용으로 널리 쓰이는 붉은색 천연색소인 '카르민산'을 생산하는 미생물 균주 개발에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미국화학회지'에 4월 2일자 온라인판 게재됐다.

카르민산은 붉은색 천연색소로 딸기우유, 사탕 등 식품과 매니큐어, 립스틱 등 화장품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연지벌레 추출을 통해 얻어지는데 연지벌레는 페루, 카나리아 제도 등지의 한정된 지역에서만 재배할 수 있는데다 연지벌레로부터 카르민산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하고 비효율적인 다단계 반응을 거쳐야 한다.

또한 카르민산은 대부분 연지벌레에서 기인한 단백질 오염물질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으며, 벌레 기반 물질의 섭취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도 적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몇몇 프랜차이즈 업체는 카르민산 사용을 중단하고 대체 식용색소를 활용하고 있다. 

이에 연지벌레를 사용하지 않는 카르민산 생산 방법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됐지만 카르민산 생합성 경로의 일부가 아직 규명되지 않았고, 곰팡이를 제외한 다른 미생물에서 카르민산 생산이 보고된 바도 없었다.

(왼쪽부터) 카이스트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 양동수 박사, 장우대 박사 [사진=카이스트]
(왼쪽부터) 카이스트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 양동수 박사, 장우대 박사 [사진=카이스트]

이 한계를 극복하고자 이상엽 교수팀은 포도당으로부터 카르민산을 생산할 수 있는 대장균 균주 개발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팀은 우선 타입 II 폴리케타이드 생합성 효소를 최적화해 카르민산의 전구체를 생산하는 대장균 균주를 구축했다. 하지만 남은 두 단계의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효소가 아직 발굴되지 않았거나 대장균 내에서 작동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팀은 생화학 반응 분석을 통해 카르민산 생산을 위한 효소 후보군을 선정했다. 그 후 세포 배양 실험을 통해 성공적으로 작동하는 효소들을 선정했다.

이렇게 선정된 효소 두 종에 대해 컴퓨터 기반 상동 모형 및 도킹 시뮬레이션을 수행 후 활성이 증대된 돌연변이 효소를 예측했다. 그리고 이에 기반한 효소 개량을 수행함으로써 증대된 활성을 지니는 효소 개발에 성공했다. 

폐목재, 잡초 등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바이오매스의 주원료인 포도당을 단일 탄소원으로 사용해 카르민산을 생산하는 대장균 균주를 최초로 개발해낸 것이다.

특히 연구팀이 개발한 대사공학 및 가상 시뮬레이션 기반 효소 개량 전략은 생산경로가 규명되지 않은 다른 천연물의 생산에도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C-글리코실 전이효소를 적용해 카르민산 뿐만 아니라 알로에로부터 생산 가능했던 미백제인 알로에신 생산에도 세계 최초로 성공함으로써 이를 증명했다.

이상엽 특훈교수는 “이번 연구는 천연물 생산의 고질적 문제인 효소 발굴과 개량에 대한 효과적인 해결책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며 “이 기술을 활용해 의학적 또는 영양학적으로 중요한 다양한 천연물을 고효율로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