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AI 시대의 인프라 운영
상태바
[기고] AI 시대의 인프라 운영
  • 석주원 기자
  • 승인 2021.02.08 11: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치 평가보다 실용주의적 관점이 필요

[글=노규남 | KINX CTO]
bardroh@kinx.net

AI(인공지능) 열풍이 거세다. 2014년 합성곱 신경망(CNN)을 사용한 구글의 AI ‘알파고’가 이세돌 9단과의 바둑 대결에서 승리하며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이후 세계 곳곳에서 다양한 조직이 AI에 투자하기 시작했고, 현재는 모든 분야로 AI가 확산되고 있다. 이런 모습은 ‘인터넷’이나 ‘닷컴’이라는 단어만 포함해도 기업이 엄청난 투자를 받을 수 있던 ‘닷컴 버블’을 연상케 하기도 한다. 이럴 때는 무엇보다 실용주의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 중요하다. 단순히 AI를 적용하자고 선언하는 것만으로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AI가 구체적으로 조직에 어떤 이익이 될 수 있는지에 집중해야 한다.

IT 운영에도 AI를 적용할 시간

최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클라우드 인프라 운영에도 AI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AI의 개발과 운영에 클라우드가 필요한 만큼, 클라우드 인프라 운영에도 AI를 빼놓을 수 없는 것이다. 잘 알려진 대로 이렇게 AI로 IT 인프라를 운영하는 방식을 ‘AIOps(AI for IT Operations, AI IT 운영관리시스템)’이라 부른다.

클라우드 시대로 넘어오면서 기업은 인프라를 매우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됐다. 개발자의 업무는 데브옵스(DevOps)의 도입으로 인해 CI/CD(지속적 통합·배포) 파이프라인에 통합되며 간편해졌다. 반면 인프라의 형태가 고정돼 있지 않아 관제와 운영은 매우 어려워졌다. 시스템 엔지니어들은 실시간으로 변하는 인프라를 안정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새로운 숙제를 안게 됐다.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 네이티브하게 바꾸면 문제는 더욱 심각해진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은 하루에도 몇 번씩 배포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서비스 규모, 엔드포인트 등도 수시로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물리 인프라와 여러 업체의 클라우드를 함께 사용하는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의 경우 구성은 더욱 복잡해진다. 따라서 고정된 인프라를 전제로 개발된 과거의 도구로 오늘날의 대규모 클라우드 인프라를 원활히 운영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자동화된 도구의 등장으로 IT 인프라 운영이 어려워졌다면 이 역시 자동화된 도구를 이용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업무에 있어 가능한 모든 부분을 자동화하는 것이 오늘날의 추세다. 특히 기존에 자동화가 어렵다고 판단된 부분까지도 AI로 자동화할 수 있게 되면서 관심이 자연스레 높아지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AIOps의 확산은 불가피하다고 볼 수 있다.

 

IT 인프라 운영, AIOps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

그러면 어떻게 IT 인프라 운영에 AI를 활용할 수 있을까? 가트너에 따르면 AIOps는 관제(Observe), IT 서비스 운영(Engage), 운영·관리 자동화(Act) 등 세 가지 영역으로 구성된다. 이 중 가장 직관적으로 효용을 얻을 수 있는 분야는 관제다. IT 업계에서 관제란 주로 모니터링 업무를 의미한다. IT 인프라가 정해진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신속하게 감지해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일련의 활동이다.

전체 기사를 보시려면 로그인 필요

로그인 또는 회원가입을 해주세요. (회원만 열람가능)

로그인 회원가입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