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를 도입한 미생물 바이오센서로 환경 유해물질 탐지한다
상태바
AI를 도입한 미생물 바이오센서로 환경 유해물질 탐지한다
  • 서혜지 기자
  • 승인 2020.12.17 14: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AI와 유전자회로를 결합한 새로운 감지/모니터링 기술 개발 기대

국내연구진이 AI와 인공미생물을 결합하여 유해물질을 식별하는 신기술을 개발하였다. 향후 생물공학, 합성생물학, 환경모니터링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성을 높여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하 생명연) 합성생물학전문연구단 김하성 박사팀(교신저자: 이승구, 제1저자: 김하성 박사)이 수행한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 농진청의 지원으로 수행되었고, 생물공학 분야의 저명 저널인 바이오센서스엔바이오일렉트로닉스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 IF 10.257) 9월 30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되었다.

유해 화합물질(방향족 물질)은 산업폐기물, 잔류농약 등에서 다양하게 발생하며 인체 및 동물 내에서 환경호르몬 등 여러 부작용의 원인이 된다. 미생물에는 유해 물질을 감지하는 다양한 유전자들이 분포하며, 이를 조합한 유전자회로를 구성하여 새로운 바이오센서를 개발하는 연구가 합성생물학의 한 분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바이오센서의 부품 단백질의 오작동이 바이오센서 연구의 정확성과 실용성을 저하시키는 요인 중 하나이다. 전자공학 분야에서 이러한 문제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동시에 사용하고 기계학습 기술을 활용하면 극복할 수 있으나 바이오센서의 경우 활용할 수 있는 센서의 수가 한정적인 문제로 인공지능 기술의 접목이 어려웠다.

연구팀은 이러한 한계를 인공적인 단백질 변이를 유발하여 극복하였다. 즉, 변이 단백질들을 여러 개로 만들고 여기에서 얻어지는 다양한 신호들을 모아들인 빅데이터를 생성하여 인공지능 모형을 적용한 것이다.

연구팀의 인공지능 모형은 11개의 유해물을 최대 약 95.3%의 정확도(true positive rate)로 식별할 수 있었으며, 이는 기존 단일 바이오센서만을 사용하는 경우에서 40% 이하의 정확도를 보인것에 비하면 현저한 향상이다. 또한 유해물 검출한계도 약 75배 이상 향상(작은양으로도 검출이 가능해짐) 되었다.

제1저자인 김하성 박사는 “동 연구성과는 미생물 바이오센서에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하여 센서 성능을 향상시킨 최초의 연구이며, 그동안 축적된 바이오센서 기술이 인공지능 기술과 결합하여 한 단계 더 정밀한 진단/감지 기술로 발전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라며, “향후 환경 시료(토양, 물, 농산물)의 유해물 감시 및 식별이나 생체내 유해물질의 모니터링에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연구책임자인 이승구 박사는 “인공 유전자회로 연구는 다른 공학분야에서처럼 논리적 구동이 가능한 생물학, 즉 합성생물학으로 발전하는 통로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머신러닝을 통하여 이를 가속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