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부문 개혁 단행이 2014년 투자 활성화시킨다
상태바
전력 부문 개혁 단행이 2014년 투자 활성화시킨다
  • 이광재 기자
  • 승인 2014.03.04 15: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프로스트앤설리번, 2014 아태지역 전력 발전․신재생 에너지 관련 톱5 전망

전력 수요가 최고치에 달하고 석탄값이 안정되고 동남 아시아 경제가 되살아나는 것에 힘입어 2014년 아시아 태평양 전력 발전(Power Generation) 산업에 투자 활동이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프로스트앤설리번은 2014년 아시아 태평양 전력 발전(Power Generation) 산업에 대한 5가지 전망을 내놨다.

지속적인 경제 성장으로 전력 수요가 최고치 달성 = 전력 수요가 꾸준히 상승함에 따라 2014년 아태지역 전력 발전량이 4.1%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IMF 전망에 따르면 2014년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 베트남 이 국가들이 합한 GDP 성장률이 5.7%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은 데에는 현지 소비 상승과 신용 확대, 중산층 증가가 뒷받침 됐다.

석탄이 아시아 선택 연료로 부상, 하지만 국제 자금 조달엔 제약 = 저렴한 가격과 활용 범위가 넓다는 이유로 아시아 지역에서 2014년에도 석탄이 선택 연료로 남아있을 것이다. 더욱이 미국에서는 천연 가스비가 저렴해 미국산 석탄을 아시아로 수출하는 사례가 급격히 늘어났다.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은 전력 부족량을 줄이기 위해 주로 석탄 화력 발전소의 용량을 방대하게 늘릴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2013년 말 미국 수출입 은행과 유럽 부흥 개발 은행은 석탄 발전 프로젝트에 대한 해외 자금 조달을 중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도 동요없이 원자력 발전에 힘을 쏟을 것으로 전망 = 2011년 후쿠시마 재해 여파로 전력 생산에 화석 연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져 2012~2013년간 일본 탄소 배출량이 크게 늘어났다. 이에 현재 에너지 상황을 개선하고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일본은 원자력 프로젝트를 다시 시작하는 방안을 신중이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동남아시아 원자력 계획은 베트남을 시작으로 실행에 옮길 것으로 보인다. 당초 2017년 착수하려 했던 베트남의 첫번째 원자력 발전소 건설은 정치적인 문제로 좀 더 일찍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가격 안정과 정부 지원에 힘입어 태양광 및 다른 신재생 에너지 설비가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전망 = 지난 2년간 아태지역 많은 국가들이 각기 다른 전력용 신재생 자원에 대한 발전차액지원제도(Feed In Tariff : FIT)를 도입해 기존의 관제 제도에 순변화를 불러 일으켰다.

2012년 일본에 도입된 태양광 발전차액지원제도는 시장에 엄청난 영향을 미쳐 2013년 태양광 시장은 폭발적인 성장을 기록했다. 전기 요금은 이미 아주 높아졌고 태양광 요금은 안정권을 유지할 것으로 보여 2014년에도 2013년과 마찬가지로 태양광 시장의 강세는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2013년 인도네시아는 국내 수많은 지열, 바이오 매스 및 기타 신 재생 에너지 (RE) 프로젝트들의 착수를 독려할 수 있도록 발전차액지원제도를 개정했다.

태국은 2014년 말까지 태양광 1000MW를 추가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태국에서 발전차액지원제도가 2006년도에 도입된 이래 신재생 에너지 프로젝트가 늘어나는 것은 매우 인상적이다. 태국의 발전차액지원제도는 기한이 10년으로 제한돼 있었다. 하지만 기존 정책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태국의 국가 에너지 정책위원회 (NEP)는 지상이나 옥상 태양광 설치 모두에 대한 발전차액지원제의 유효기간을 25년으로 연장하는 것을 승인했다.

이러한 제도적 변화는 2014년 태국 신재생 에너지 시장 성장에 큰 힘을 실어줄 것이다. 필리핀 에너지 규제 위원회가 풍력이나 하이드로, 태양광, 바이오매스에 대해 시행하던 발전차액지원제도에 대해 필리핀 신재생 에너지 개발업체들의 만족도는 낮았다. 하지만 2014년 일부 바이오매스나 소규모 수력 및 풍력 프로젝트에 유리하게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영국 기업인 토텍(Tortech)과 말레이시아 기업인 CHE그룹이 베트남에 바이오매스 화력 발전소들을 건설하고 있다. 이 기업들은 베트남의 발전차액지원제도를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판단하고 이 시장에 뛰어들었다고 전했다. 말레이시아인 경우 SEDA(Sustainable Energy Development Authority)가 2014년 발전차액지원제도하에 풍력 발전을 도입할 것으로 보인다.

투자자 신뢰 유지를 위해 주요 규제 완화 및 전력 시장 개혁 = 일본 정부는 2011년 원전 사고 이후 아베 정부의 우선순위로 꼽는 전력 개혁에 도화선이 될 전기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 개혁안의 핵심 제안들은 바로 국가 그리드와 전력 시장 자유화다. 유틸리티 자유화로 독점 시장의 막을 내릴 것으로 기대된다.

2020년까지 전력 부문 개혁에 2990억달러가 필요하다고 아베 총리는 말했다. 2곳의 석탄 화력 발전소와 13곳의 가스 화력 발전소는 2014년 말까지 완료될 것으로 보이며 이들의 전력 공급량은 석유로 생산하는 전력량의 약 20%를 차지할 것이다.

한편 말레이시아 정부는 전기 요금 완화와 보조금 축소에 초점을 맞춘 2011-2015 새로운 에너지 계획을 세웠다. 이 계획안은 전력 산업의 전력 생산, 전송, 배급, 이 세 가지 모든 분야에 많은 투자를 권장할 것이다. 관련 규정에서는 개인이나 공공에서 에너지 효율 장비를 사용하면 인센티브를 주게돼 있다.

이처럼 아태지역 국가들이 계획하고 있는 다양한 전력 분야 개혁안들이 실현되는 것이야말로 투자를 촉진하고 지역간의 전력 시장 조화를 이뤄낼 수 있는 길일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