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 혁명 ‘스마트팩토리’ 한국 어디까지 왔나?(2)
상태바
4차 산업 혁명 ‘스마트팩토리’ 한국 어디까지 왔나?(2)
  • 이나리 기자
  • 승인 2016.12.06 10: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 2020년까지 스마트공장 1만개 확대 목표…중소기업 기술 지원 적극 추진

한국, ‘제조업 혁신 3.0’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구축 돕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014년 제조업 부흥을 위해 ‘제조업 혁신 3.0 전략’을 발표하면서 ICT와 결합한 스마트 팩토리를 2020년까지 1만개 제조시설에 확대한다는 원대한 목표를 세웠다. ‘제조업 혁신 3.0 전략’은 독일의 첨단기술 로드맵인 ‘인더스트리 4.0’ 전략을 표방하며 우리나라 산업의 근간인 제조업의 진화를 통해 경제의 도약을 주도하겠다는 계획이다.

한국은 독일, 미국, 일본과 비교해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한 제조시설 비율이 현저히 낮다. 주로 삼성, LG, 현대, 포스코, SK하이닉스, CJ, 유한캠벌리 등의 대기업들만이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했으며 대다수 제조기업들은 구축에 필요성을 못 느끼거나 비용부담으로 인해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정부는 뒤늦게 국내 중소·중견기업제조업의 스마트 팩토리 보급에 나섰다. 18개 지역의 창조경제혁신센터는 국내 현실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공장 도입을 위한 ‘ICT융합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지원사업’을 2015년부터 시작했고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스마트공장추진단을 설립했다.

이 프로젝트는 2017년까지 2년간 전국 1000개 기업에 스마트 팩토리 확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자동차가 사회공헌의 일환으로 스마트 공장 시스템 보급에 발 벗고 나섰다.

세종시를 제외한 18개 지역 중 삼성전자는 파견으로 관리하는 14개 지역과 관할하고 있는 제주도를 포함해 총 15곳을 담당하며, LG전자는 충북, 현대자동차는 광주를 맡는다. 삼성이 지원하는 경북 지역은 전자와 섬유, 현대가 지원하는 광주·반월시화는 자동차부품과 기계, LG가 지원하는 충북 지역은 바이오의약과 화학 업종이 중점이다.

스마트 공장 도입을 희망하는 중소기업들은 스마트공장추진단에 정책자금지원 사업계획서를 제출하면, 스마트공장추진단은 사업계획서를 평가하고, 선정된 기업은 스마트공장 구축비의 최대 50%를 지원 받을 수 있다. 한 기업별로 지원한도는 5000만원이다. 이 금액은 정부 지원 2500만원, 해당 지역의 사업을 맡은 삼성, 현대, LG 중의 한 곳이 2500만원이 합해지게 된다.

전국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은 공장운영시스템(MES, ERP 등), ICT 기반 제조기술(제조 자동화, 공정시뮬레이션, 초정밀금형) 등 중소·중견기업의 수준과 규모, 분야에 따라 단계별로 추진된다. 대다수의 공장들이 일부 공정만 자동화된 기초단계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중간 1단계(센서를 활용한 IT 기반 생산관리)의 시스템 구축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중간 2단계는 PLC 등을 시스템을 연동시켜 실시간 공장 자동제어가 가능한 수준으로 주로 대기업에 해당된 단계다.

스마트공장추진단은 각 제조시설에 필요한 솔루션을 컨설팅을 하고 산업자원부에 등록된 120여개의 국내 공급 기업들의 기술을 활용해 솔루션을 구축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다. 구축 완료 후에도 공급기업들은 제조시설을 구축한 기업에게 1년간 무상으로 애프터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삼성전자 측은 지난해 120개 공장에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마쳤고 11월8일 기준으로 지금까지 총 477개 공장을 완료했으며, 올해 목표로는 450개 공장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이번 프로젝트의 멤버로 자사에서 최소 20년 이상 근무한 150여명의 경력자들을 투입시켰으며 이들은 필드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각 기업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구축해주고 있다.

전체 기사를 보시려면 로그인 필요

로그인 또는 회원가입을 해주세요. (회원만 열람가능)

로그인 회원가입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