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시카메라용 케이블 접속부 보호커버
상태바
감시카메라용 케이블 접속부 보호커버
  • CCTV뉴스
  • 승인 2009.05.0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로나 주차장 또는 각종 건물의 출입구를 확인 및 감시하기 위한 감시카메라에 있어서, 그 감시카메라의 본체와 카메라를 연결하여 전원을 제공하거나 데이터를 전송하는 케이블의 접속부에 결합하기 위한 보호커버에 관한 신우테크의 기술이다. 특히 감시카메라의 케이블 접속부에 체결되게 한 별도의 보호커버를 구비하되, 그 보호커버는 케이블 수납 공간부와 체결 플랜지부를 갖고, 보호커버의 몸체 일측 선단에는 차양을 형성하는 것이이다.  

케이블 삽입공에는 체결부재를 통해 케이블과의 수밀 방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옥외에 설치되거나 습기나 물기 등으로부터 안전하지 못한 설치상태의 감시카메라를 빗물이나 눈 또는 습기로부터 비교적 안전하게 보호하므로 누전이나 고장 등의 원인을 방지하여 그 사용수명을 크게 연장시킨다. 또한  유지 및 관리가 손쉬워지므로 매우 경제적인 특징을 갖는 감시카메라용 케이블 접속부 보호커버에 대한 새로운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의 실내 및 옥외에는 그 주변을 확인하거나 감시하기 위한 감시카메라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감시카메라는 특정한 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주변을 관찰할 수 있어 방범 및 안전사고 예방의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감시카메라는 원격지에서의 현장을 살펴보거나 녹화 등을 할 수 있어 더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있는데, 일예로서 도로 경계 및 주차장 경계의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따라서, 옥외에 설치되는 다양한 감시카메라의 경우 비 또는 눈과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그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 수밀 방수 구조로 제작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옥외용 감시카메라의 경우 빗물이나 눈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한 작동 및 사용이 가능하도록 수밀 방수구조를 채택하고 있으나, 팬 틸트 카메라와 같이 움직임이 빈번하면서도 카메라의 작동 각도가 광범위한 경우에는 전원이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각종 케이블이 그 카메라 본체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카메라 본체로부터 인출되어 카메라로 연결되는 케이블 접속부가 그대로 외부에 노출되는 단점을 갖게 된다.

즉, 같은 케이블 접속부의 경우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본체의 내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빗물이나 물기에 취약한 단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서, 비 또는 눈이 내린 상태에서 바람이 불거나 충격 또는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에는 이들 빗물이 그 케이블 접속부로 유입되어 누전의 원인을 제공하거나 감시카메라의 전기적 요소또는 회로 부분에 심각한 타격을 가하므로 고장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하는 것이다.

더구나 감시카메라는 전원선과 테이터 송신선이 필수적인 요소로서, 이와 같은 케이블 접속구는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바, 상기한 케이블 접속부의 수밀 방수구조는 기기의 설계상 신중히 고려되어야 할 부분임과 동시에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요소인데 반하여, 실질적으로는 그에 상응하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감시카메라의 케이블 접속부에 체결되게 한 별도의 보호커버를 구비하되, 그 보호커버는 케이블 수납 공간부와 체결 플랜지부를 갖고, 보호커버의 몸체일측 선단에는 차양을 형성하는 것이며, 케이블 삽입공에는 체결부재를 통해 케이블과의 수밀 방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감시카메라가 갖는 방수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한 것이다.

이같이 감시카메라용 케이블 접속부 보호커버는, 옥외에 설치되거나 습기나 물기 등으로부터 안전하지 못한 설치상태의 감시카메라를 빗물이나 눈 또는 습기로부터 비교적 안전하게 보호하므로 누전이나 고장 등의 원인을 방지하여 그 사용수명을 크게 연장시키면서도, 유지 및 관리가 손쉬워지므로 매우 경제적인 것이다.


도면 1. 대표도

본 기술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해 본다. 도 1은 감시카메라용 보호커버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감시카메라용 보호커버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감시카메라용 보호커버의 측단면 전체도이다.


그림 2. 감시카메라용 보호 커버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보호커버는 일측이 개방된 박스 형태의 커버몸체(10)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커버몸체(10)의 개방 측에는 외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11)를 갖고 있으며 그 플랜지부(11)에는 커버몸체(10)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적어도 2개소 이상의 체결공(12)(12')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한 개방 측을 감시카메라의 본체에 밀착한 상태에서 그 체결공(12)(12')을 이용하여 체결볼트등으로 이들을 서로 견고하게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커버몸체(10)의 일측면에는 관통상의 케이블공(13)이 형성되어 있고 그 케이블공(13)이 형성된 커버몸체(10)의 일측 상부에는 연장 형성된 일체의 차양(1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케이블공(13)은 케이블 접속부로부터 인입되는 다양한 케이블이 그 케이블공(13)을 통해 커버몸체(10)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기 위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림 3. 감시카메라용 보호커버의 측단면 전체도

특히, 케이블공(13)에는 상기한 케이블(101)과의 수밀 방수 구조를 갖게 하기 위해 별도의 체결부재(20)가 결합되는 것인데, 관통된 삽입공(21)을 갖는 체결부재(20)는 그 케이블공(13)과 나사 체결되어 있으며, 삽입공(21)의 외측단에 형성된 확장의 경사홈부(23)에는 오링(22)이 안치되어 별도의 너트체(24)를 그 체결부재(20)에 나사 결합함에 따라 오링(22)이 체결부재(20)와 너트체(24)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게 된다.


그림 4. 감시카메라용 보호 커버에 케이블이 고정된 상태의 단면도

이에 따라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케이블(101)을 케이블공(13)의 체결부재(20) 상에 형성된 삽입공(21)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체결부재(20) 일측단의 너트체(24)를 회전시키게 되면 그 너트체(24)가 체결부재(20)를 향하여 이동하면 내측의 오링(22)을 압박하게 되는 것이며, 연질 탄력재로 된 오링(22)은 내측으로 변형하면서그 케이블(101)의 외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것이다.

특히, 오링(22)은 체결부재(20) 단부의 경사홈부(23) 상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서, 너트체(24)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면 그 경사홈부(23)를 따라 내측으로 축소되려는 힘을 받게 되므로 결국 이들의 뛰어난 밀착력을 통해 안정적인 수밀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박지은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