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온] 미래 안전, 스마트치안이 책임진다
상태바
[포커스온] 미래 안전, 스마트치안이 책임진다
  • 곽중희 기자
  • 승인 2022.10.13 09: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ICT-과학 기술과 함께 비상하는 치안 기술들

정부-연구 기관, 스마트치안 R&D-투자 활발

스마트치안이 각광 받으면서 우리나라의 정부와 연구 기관은 스마트치안에 대한 R&D와 투자를 계속해서 넓혀가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경찰청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과 협력해 치안 현장 내 ICT 적용에 대한 R&D를 확대해 더욱 안전한 치안 환경을 조성하는데 힘쓰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ICT를 활용한 과학 치안 R&D 강화를 위해 ‘치안 분야 ICT R&D 과제’를 2021년 4개(76억 원)에서 2022년 7개(105억 원)로 확대했다. 경찰청은 사업 추진 과정에서의 경찰관 참여와 실증을, IITP와 ETRI는 연구 기술과 인력을 지원한다.

연구 기관인 IITP와 ETRI가 치안 분야에 필요한 ICT R&D를 실행해 결과물을 만들어 내면, 경찰청은 해당 치안 기술을 현장에서 실증한다. 또한 R&D 과정에서 필요한 데이터는 경찰청이 비식별화 작업을 거쳐 제공한다.

스마트치안에 필요한 전문 인력 양성도 본격화되고 있다. 경찰청은 현재 진행하고 있는 경찰관 교육 프로그램에 첨단 ICT의 동향과 데이터, AI, SW 등에 대한 교육을 추가한다. 스마트치안 기술이 상용화될수록 관련 장비를 다룰 수 있는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밖에도 스마트치안 발전을 위한 아이디어 공모 등 민간과의 협력도 늘어나고 있다. 과기정통부와 경찰청, 그리고 치안정책연구소는 지난 7월 국내 스마트치안 기술의 발전을 위해 ‘스마트·과학 치안 아이디어 공모’를 열었다.

급변하는 미래 사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범죄를 과학 기술을 통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함이다.

정의석 ETRI 홍보 담당관은 “작년과 올해에 이어 스마트치안 R&D를 위한 지원 사업은 앞으로도 계속될 예정이다. 특히 최근에는 CCTV, 드론 등에 AI를 접목해 범죄를 예측·대응하는 기술들이 주로 개발되고 있다.

범죄 관련 민원을 응대하는 간단한 챗봇 기술부터 112 신고 데이터를 심층 분석해 범죄 위험을 예측하거나, 수사 데이터와 주변 인물 관계를 분석해 용의자를 추론하는 등 고도의 기술도 있다.

전체 기사를 보시려면 로그인 필요

로그인 또는 회원가입을 해주세요. (회원만 열람가능)

로그인 회원가입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